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조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정부 비축 마스크 3728만여 장 가운데 1861만여 장의 유통기한이 6개월 이내로 남았다. 나머지 마스크의 유통기한도 대부분 1년 안팎으로, 장기 보관이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2020년 코로나19 확산 당시 마스크를 ‘긴급수급조절물자’로 지정하고 추경 예산을 투입해 1억5천만 장을 비축했다. 이후 2023년까지 매년 수천만 장을 추가 구매했지만 팬데믹이 끝나면서 수요가 급감했다.
2022년만 해도 연간 1억2700만 장이 방출됐으나 지난해에는 600만 장 수준으로 줄었다. 이에 따라 전국 비축 창고에는 사용되지 못한 마스크가 쌓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당시의 ‘공급 불안’ 기억 때문에 과도하게 비축한 결과”라며 “비상물자라도 주기적인 수요 분석과 회전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