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시장은 이날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포항시, 아주뉴스코퍼레이션이 공동 주최하고 경상북도·경상북도의회가 후원하는 '포항, 다시 묻다: 지진 책임과 재발 방지' 정책 세미나에서 "지금이라도 정부와 정치권이 포항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다면 법적 판결 이상의 실질적인 해결책이 마련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2017년 11월, 국가 주도의 지열발전 사업으로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 촉발지진은 시민들의 삶을 무너뜨린 인재였다"며 "많은 분이 집을 잃고, 오랜 세월 정신적 고통 속에서 살아왔다. 특별법을 통해 일부 재산 피해가 보상됐지만, 마음의 상처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포항시민들의 정신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소송이 2018년 10월에 제기되고, 5년의 시간이 흐른 2023년 11월 16일에 지열발전사업과 포항지진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고 시민들의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판결이 대구지법 포항지원에서 선고됐다"며 "법원이 1심에서 정신적 피해를 인정한 것은 시민들의 고통을 사법적으로 처음 인정한 뜻 깊은 결정이었다"고 언급했다.
이 시장은 "대법원은 현재 상고심 사건에 대한 심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포항시민들은 역사에 길이 남을 정의롭고 공정한 판결을 기대하고 있다"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정부와 정치권이 포항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다면 법적 판결 이상의 실질적인 해결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