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가 인공지능(AI) 기반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를 출시하며 구글 크롬에 정면 도전장을 던졌다.
오픈AI는 21일(현지시간) 자사 웹사이트와 X(옛 트위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첫 AI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출시는 AI 업계 선두주자인 오픈AI가 브라우저 시장 진입을 본격화한 신호로 해석된다.
회사 측은 “브라우저는 작업과 도구, 맥락이 모두 모이는 중심”이라며 “챗GPT로 구축된 아틀라스는 사용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목표 달성을 돕는 진정한 슈퍼 어시스턴트로 진화했다”고 소개했다.
챗GPT 아틀라스는 이용자가 보고 있는 웹페이지를 실시간으로 탐색하며, 창을 벗어나거나 복사·붙여넣기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면접 준비를 위해 지난주에 살펴본 채용공고를 모아 업계 트렌드를 요약해 달라”고 요청하면, 아틀라스는 내장된 메모리를 통해 이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 브라우저의 메모리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할 수 있으며, 기록은 언제든 삭제할 수 있다. 오픈AI는 “이용자가 직접 데이터 저장과 활용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아틀라스는 macOS에서 이용 가능하며, 향후 윈도우·iOS·안드로이드 등 다른 운영체제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출시로 오픈AI는 구글과 퍼플렉시티 등 AI 브라우저 경쟁사들과 직접 맞붙게 됐다. 퍼플렉시티는 지난 7월 AI 브라우저 ‘코멧(Comet)’을 유료로 내놓은 뒤 최근 무료로 전환했으며, 구글은 지난달 크롬에 AI 모델 ‘제미나이’를 본격 탑재했다. 제미나이는 캘린더·유튜브·지도 등 구글 앱과 통합돼 별도 페이지 이동 없이 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오픈AI가 독자 브라우저를 선보이면서, 이 시장을 장악해온 구글의 아성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실제로 이날 뉴욕증시에서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주가는 장중 한때 4% 넘게 하락했다가 오후 들어 낙폭을 줄이며 1%대 하락세로 마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