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현덕 KAIST 교수,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 출간

  • 급속한 AI 기술 변화 너머…경영에 필요한 인문학적 통찰 담다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 사진드러커마인드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 [사진=드러커마인드]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인공지능경영자과정 주임교수이자 지스쿨(G-School) 원장인 여현덕 교수가 저서 '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을 출간했다. 경영자·연구자·실무자 모두에게 AI 시대의 전략적 사고법을 제시하는 실천적 지침서다이자 AI 기술의 활용법을 넘어 인간과 조직, 그리고 리더십의 본질을 다시 묻는 책이다.

여 교수는 기술의 발전이 단순히 효율을 높이는 수단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창의성과 감성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지뢰밭을 해체하는 소년병의 사례와 아인슈타인의 직관을 통해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조직 구성원(소년병)과 창의적 통찰로 미래를 설계하는 리더(아인슈타인)를 대비시키며 AI 시대의 리더십 전환을 설명한다.

책은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협업의 파트너로 바라본다. 반려동물과 교감하는 ‘휴니멀 인공지능’, 감성을 읽어내는 감성 AI,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환각현상 등 최신 기술 이슈를 인문학·과학·예술의 맥락 속에서 분석하며 인간과 AI가 함께 만들어가는 협업지능(CQ·Collaborative Intelligence)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 교수는 “AI는 인간의 자리를 대체하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의 가치를 강화하는 촉매제가 되어야 한다”며 “기술 중심의 경영에서 인간 중심의 경영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때 지속 가능한 혁신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책은 또한 그리스 신화의 프로메테우스와 아인슈타인의 통찰을 인용해 생성형 AI를 ‘새로운 불’로 비유한다. AI가 인류를 위협하는 불이 될 수도, 문명을 밝히는 불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사이보그의 길’(기술 중심 발전)과 ‘케이론의 길’(인간 중심 조화) 사이에서 AI 경영의 나침반은 인간의 존엄과 포용적 가치 위에 세워져야 한다고 제언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