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리튬 배터리·인조다이아몬드도 수출통제 계획"

  • 내달 8일부터 시행 예고... 美반도체 등 타격 전망

  • "강공 지속되면...서로 양보 어려운 상황 될 수도"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희토류에 이어 고급 리튬 이온 배터리와 인조 다이아몬드 등에 대한 수출 통제도 시행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과의 대치 국면 속에서 중국이 본격적으로 자원 무기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13일 홍콩 명보는 중국 상무부가 앞서 내달 8일부터 고급 리튬 이온 배터리와 인조 다이아몬드 등 두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일부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미국의 압박에 맞서는 중국의 또 다른 비장의 카드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조 다이아몬드는 천연 광물과 동일한 특성을 지녔지만 가격이 저렴해 첨단 반도체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중국은 인조 다이아몬드 주요 생산·공급국으로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2020∼2023년 중국은 미국 소비량의 77%에 달하는 인조 다이아몬드 분말을 공급했다.

러시아 스푸트니크통신은 이와 관련 전문가 견해를 인용해 “중국이 인조 다이아몬드 주요 생산 및 공급국으로서 지위를 활용해 미국의 컴퓨터 칩 공급망 등과 같은 글로벌 첨단 제조 공급망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리튬이온 배터리 수출 통제 역시 미국 기업들에 치명적이기는 마찬가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산 리튬이온 배터리는 미국 수입량의 65%를 차지했다.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에너지, 경제 및 안보 프로그램 책임자인 에밀리 킬크리스는 "미국의 인공지능(AI) 첨단 칩 통제로 중국의 AI 개발이 제한되지만, 중국의 리튬이온 배터리 수출통제로 미국의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도 제약받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미·중이 강대강 대치를 이어갈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싱가포르 연합조보는 전날 ISEAS-유소프 이샥 연구소의 스티븐 올슨 객원 선임연구원을 인용해 "미·중 양국 모두 자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주저하지 않고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강공이 지속되면 서로 양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