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2021∼2025년) 신임법관 임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신규 임용된 5년 이상 법조 경력자 법관 153명 중 로펌 등 변호사 출신은 68명(44.4%)이다.
이중 출신 로펌별로 보면 김앤장이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화우 6명, 세종과 태평양 각각 4명, 광장 1명 등으로 집계됐다. 전체 신규 임용 법관의 약 10%, 변호사 출신 대비로는 약 20%가 김앤장 출신인 것이다.
아울러 최근 5년간 새로 임용된 법관 676명 중 로펌 변호사 출신은 355명(52.5%)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기도 했다. 이 역시 김앤장을 비롯해 광장·태평양·세종·율촌·화우 등 대형 로펌 출신은 166명으로 전체 24.6%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펌별로는 김앤장이 73명(전체 10.8%)으로 가장 많았고 화우 24명, 세종 23명, 태평양 19명, 율촌 16명, 광장 11명 순이다.
연도별로도 보면 매년 신규 임용 법관 10명 중 1명꼴로 김앤장 출신이 선발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21년엔 전체 신규 임용 법관 156명 중 19명(12.2%), 2022년 135명 중 19명(14.1%), 2023년 121명 중 9명(7.4%), 2024년 111명 중 12명(10.8%), 2025년 153명 중 14명(9.2%)이 모두 김앤장 소속으로 일했다.
매년 임용된 법관이 특정 로펌출신으로 쏠리면서 법조계에서는 '후관예우' 우려가 나오고 있다. 후관예우는 법원을 떠나 변호사가 된 전관이 우대받는 것에 빗댄 것으로 변호사 출신 판사가 친정인 로펌에 유리한 판단을 해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추 의원은 "신규 법관 임용에 대형 로펌 쏠림 현상이 여전하다"며 "후관예우 우려가 지속된 만큼 법원행정처는 다양한 경력의 법관 인사·선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