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은 11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정부의 6·27 대책 이후 주택시장 및 가계대출 상황과 관련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한은에 따르면 수도권 주택시장은 가격 상승폭이 줄고 거래도 둔화되는 등 과열 양상이 다소 진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내 전입신고 의무 강화로 갭투자 등 투기적 거래도 상당폭 줄어둔 것으로 추정됐다.
6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 제한의 영향을 받는 고가주택을 중심으로 거래 감소가 뚜렷했다. 지난 7월 서울에서 8억6000만원 초과 주택거래 비중은 36.8%로 전월(51.3%) 대비 14.5%포인트 줄었고, 12억원 초과 주택거래 비중도 23.2%로 전월(33.9%)보다 10.7%포인트 낮아졌다.

한은은 서울의 주택가격 상승세가 여전히 높고, 15억원 초과 아파트의 상승 거래·신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어 추가 가격 상승 기대와 잠재적 수요가 견조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지역 간 전이효과와 과거 부동산 대책의 학습효과로 6·27 대책의 효과가 점차 약해질 가능성도 지적했다. 과거에도 대책 발표 직후 시장이 둔화하다가 실효성 있는 추가 대책이 없을 경우 다시 반등하는 양상이 반복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관련 리스크 요인이 잠재해 있는 만큼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상황의 추세적 안정 여부는 좀 더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서울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충분히 가라앉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 간 전이효과, 공급 부족 우려, 금융여건 완화 등이 맞물릴 경우 수도권 주택시장이 재차 과열되고 가계부채 증가세도 다시 확대될 수 있어서다.
박종우 한은 부총재보는 "6·27 가계부채 대책이 효과를 거두며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고 주택시장의 과열 심리도 어느 정도 진정됐지만 서울 주요 지역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과거에도 대책 발표 직후 일시적으로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효과가 지속되려면 시장 전반의 심리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