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TBS는 최근 항공기 제조사 연구원인 한국인 A씨(35세)가 맞선을 위해 도쿄를 찾은 모습을 전했다. 일본어를 이번 맞선을 계기로 배우기 시작했다는 그는 말차 카페를 장소로 고르고, 직접 만든 전투기 배지를 선물하는 등 공을 들였다. 그는 결혼상담소 등록비와 항공권, 미용 비용 등으로 100만 엔(약 940만 원) 이상을 쓰지만 “결혼 상대를 찾을 때까지 1년에 여러 번 일본에 오겠다”고 했다.
A씨는 일본행을 택한 이유에 대해 “한국은 남성이 신혼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며 “대출 없이 집을 사려면 40살이 돼야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일본 여성은 이런 경제적 부담을 요구하지 않을 것 같아 결심했다는 것이다.
맞선 파티에서 8명의 일본인 여성과 만난 A씨는 아직 이상형을 만나지 못했지만 “계속 적극적으로 활동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국제결혼은 전년보다 40% 늘어난 1176건으로 최근 10년 새 최다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의 혼인은 147건으로 10년 전의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결혼 문화와 경제적 여건 차이가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 국제결혼 확산의 주요 배경이 되고 있는 가운데, 한류와 상호 호감이 맞물리면서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