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왼쪽)이 24일 서울 마포구 경총을 방문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경제 단체들을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24일 고용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이날 취임 이후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를 잇달아 방문해 노동 현안과 관련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근로시간 단축, 중대재해처벌법, 최저임금, 노동조합법 2·3조 개정 등 현안을 언급하면서 "노사가 윈-윈 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계와의 정책간담회 등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에 김 장관은 "중소기업은 절대다수 노동자가 일하고 있는 우리 경제의 뿌리"라며 "중소기업이 살아야 노동자도 잘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의 여건이 좋아지고 중소기업 노동자가 존중받으며 일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앞으로 자주 만나 소통하면서 협력하겠다"며 "중소기업중앙회에서도 좋은 일터, 안심 일터 만들기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도 노조법 2·3조 개정, 근로시간 단축, 정년 연장 등에 대한 기업의 우려를 전달했다. 그는 "노사관계 안정과 노동시장 활력 회복을 위해 노사정이 힘을 모아 해법을 모색하는 대화의 장이 필요하다. 신임 장관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김 장관은 이에 대해 "친노동은 반기업이라는 낡은 패러다임에서 새롭게 전환해야 한다"며 "노동이 '진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역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아래로부터의 대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노사정·노정·노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중층적 사회적 대화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통상임금, 중대재해법, 노조법 2·3조 개정, 정년연장 등에 대해 현장의 관심과 우려가 큰 만큼 균형 있게 잘 살펴봐 주시기 바란다"며 "인공지능(AI) 기술변화에 따라 새로운 근무 형태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므로 생산성을 고려한 유연성 확보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AI 기술혁신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가 미래 세대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노사정이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한다"며 "노동 이슈들에 대한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현장의 어려움이 해소되고 좋은 취지가 발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기업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정부도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하고 힘을 보태겠다"고 부연했다.
24일 고용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이날 취임 이후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를 잇달아 방문해 노동 현안과 관련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근로시간 단축, 중대재해처벌법, 최저임금, 노동조합법 2·3조 개정 등 현안을 언급하면서 "노사가 윈-윈 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계와의 정책간담회 등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에 김 장관은 "중소기업은 절대다수 노동자가 일하고 있는 우리 경제의 뿌리"라며 "중소기업이 살아야 노동자도 잘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의 여건이 좋아지고 중소기업 노동자가 존중받으며 일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앞으로 자주 만나 소통하면서 협력하겠다"며 "중소기업중앙회에서도 좋은 일터, 안심 일터 만들기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김 장관은 이에 대해 "친노동은 반기업이라는 낡은 패러다임에서 새롭게 전환해야 한다"며 "노동이 '진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역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아래로부터의 대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노사정·노정·노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중층적 사회적 대화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통상임금, 중대재해법, 노조법 2·3조 개정, 정년연장 등에 대해 현장의 관심과 우려가 큰 만큼 균형 있게 잘 살펴봐 주시기 바란다"며 "인공지능(AI) 기술변화에 따라 새로운 근무 형태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므로 생산성을 고려한 유연성 확보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AI 기술혁신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가 미래 세대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노사정이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한다"며 "노동 이슈들에 대한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현장의 어려움이 해소되고 좋은 취지가 발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기업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정부도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하고 힘을 보태겠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