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4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만나 면답하고 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을 만나 이른바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등 최근 노동입법 움직임에 대한 산업계의 우려를 전달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 도입 등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에 대해서도 논의하며 우리 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최 회장은 24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김 장관을 만나 "기업들이 고용·노동 환경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고, 걱정도 적지 않다"며 "그간 통상임금이나 중대재해처벌법이 주요 이슈였는데, 최근엔 노조법 2·3조 개정 논의가 계속되고 있고, 새롭게 떠오른 정년연장 문제 역시 기업들의 핵심 현안'이라고 밝혔다.
이번 면담은 김 장관이 경제단체장들과의 소통 차원에서 마련한 자리다. 김 장관은 장관 후보자 시절부터 노조법 2·3조 개정을 위한 당정 협의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최 회장은 노동시장 변화와 관련해 AI 기술 도입에 따른 노동·경영 환경의 재편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AI 기술이 도입되면 기존의 노동환경에 구조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대한민국에 맞는 새로운 고용·노동의 프레임을 산업계와 정부가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같은 시간에 출근하고 퇴근하거나 교대 근무를 하는 방식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AI와 사람이 결합된 미래에는 고정된 시간에 동일한 일을 하는 구조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라며 "노동의 유연성이 확대되고, 고용에 대한 인식도 상당 부분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향후 AI 도입에 따라 원하는 시간대에 자유롭게 일하고, 생산성과 연계된 방식으로 근로조건이 바뀌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노동과 고용에 대한 프레임 역시 진화해야 한다"며 "예측은 어렵지만, 대한민국이 이 변화를 신속히 수용해 제조업 등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면담에서는 AI 기술혁신을 비롯해 노동시장 외에도 다양한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한편, 이날 자리에는 △박주봉 인천상의 회장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이형희 서울상의 부회장(SK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장) 등이 동석했다.
최 회장은 24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김 장관을 만나 "기업들이 고용·노동 환경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고, 걱정도 적지 않다"며 "그간 통상임금이나 중대재해처벌법이 주요 이슈였는데, 최근엔 노조법 2·3조 개정 논의가 계속되고 있고, 새롭게 떠오른 정년연장 문제 역시 기업들의 핵심 현안'이라고 밝혔다.
이번 면담은 김 장관이 경제단체장들과의 소통 차원에서 마련한 자리다. 김 장관은 장관 후보자 시절부터 노조법 2·3조 개정을 위한 당정 협의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최 회장은 노동시장 변화와 관련해 AI 기술 도입에 따른 노동·경영 환경의 재편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AI 기술이 도입되면 기존의 노동환경에 구조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대한민국에 맞는 새로운 고용·노동의 프레임을 산업계와 정부가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향후 AI 도입에 따라 원하는 시간대에 자유롭게 일하고, 생산성과 연계된 방식으로 근로조건이 바뀌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노동과 고용에 대한 프레임 역시 진화해야 한다"며 "예측은 어렵지만, 대한민국이 이 변화를 신속히 수용해 제조업 등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면담에서는 AI 기술혁신을 비롯해 노동시장 외에도 다양한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한편, 이날 자리에는 △박주봉 인천상의 회장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이형희 서울상의 부회장(SK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장) 등이 동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