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훈 신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취임 이후 첫 내부 직원 간담회인 '타운홀 미팅'서 “공직사회가 AI를 활용한 혁신의 선두에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간에서 쌓은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과기정통부부터 업무 방식의 대대적인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배 장관은 “민간과 정부의 일하는 방식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면서도 “공무원들이 보여주는 강한 헌신, 나라에 대한 로열티는 매우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각종 보고와 회의 때문에 세종과 서울을 오가는 비효율적인 현실도 직접 체감했다”며 “인공지능(AI)와 첨단 기술을 선도하는 부처로서 과기정통부가 앞장서 디지털 소통, 온라인 회의 등 스마트워크 문화를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AI 활용에서 ‘소버린 AI’만 외칠 것이 아니라, 실제 공직 현장에서 민간이 만든 국내 모델 활용 생태계도 빠르게 키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재 정책과 관련해서도 현장 경험을 녹인 진단이 이어졌다. 배 장관은 “연봉만 높게 제시한다고 우수 인재가 장기적으로 머무는 건 아니다”라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실험장비, 컴퓨팅 인프라 등 기본 환경을 제대로 갖춰줄 때 진짜 인재들이 모이고, 또 그 인재가 새로운 인재를 끌어들이는 선순환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임기 내 내실 있는 연구환경 구축을 핵심 과제로 삼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R&D 혁신 방향에 대해서는 “이제는 생성형 AI를 넘어 추론형·에이전트 AI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각 과학 분야별로 연구소장급 AI를 만들어, 연구자들이 AI와 함께 가설, 분석, 실험 설계까지 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단순 업무 자동화 수준이 아니라, 전문 분야별 각종 데이터의 고도화와 전문가형 AI 에이전트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공직 및 정부에서도 민간 기업의 우수 AI 기술을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생태계가 중요하다. 특정 부서나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전 부처, 전 직원이 AI 활용법을 고민하고 실험 사례부터 차곡차곡 쌓아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