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인니 무역협정 체결...대미 관세 32→19%

  • 인도네시아, 미국산 제품에 관세 0%

  • 미국, 인니 구리 분야에서도 시장 접근권 확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이후 영국과 베트남에 이어 세 번째 무역 협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오늘 인도네시아의 존경받는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과 통화한 뒤 인도네시아와 중요한 (무역)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인도네시아는 우리(미국)에게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19%의 관세를 지불할 것이며, 미국에서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상품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면제된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인도네시아산 제품에 19%의 관세를 물리지만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제품에 0%의 관세, 즉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이는 기존 인도네시아산 제품에 부과되던 32%의 관세보다 낮아진 수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협정으로 인도네시아의 전체 시장가 미국에 역사상 처음으로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우리 농장주, 농민, 어민들은 처음으로 2억 8000만명의 인도네시아 시장에 완전하고 총체적인 접근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특히 인도네시아가 강점을 가진 구리 분야에서도 미국이 완전한 시장 접근권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외국산 구리에 대해 내달 1일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는데 인도네시아산 구리에 어떤 관세율이 적용될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협정에 따라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에너지를 150억 달러(약 20조8천억원), 미국산 농산물 구매에 45억 달러(약 6조2천500억원), 777 모델을 중심으로 한 50대의 보잉 항공기 구매도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국민의 우정과 무역적자 균형을 맞추겠다는 약속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과 인도네시아의 무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약 400억 달러(약 55조5000억원)로, 상위 15위권 밖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지난해 미국의 인도네시아 수출은 3.7%, 수입은 4.8% 증가했으며 상품 수지 적자는 약 180억 달러(약 25조원)에 달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같은 몇몇 협정이 발표될 것”이라며 “인도와도 기본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진행 중이며, 우리는 인도에 대해 완전히 접근하게 될 것”이라며 인도 등과 무역협정도 곧 체결될 수 있음을 내비쳤다.
 
그는 이어 “우리는 이들 국가에 전혀 접근할 수 없었지만, 관세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됐다”며 관세정책의 성과를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서한에서 30%의 관세를 부과한 유럽연합(EU)과의 무역협상에 대해선 “우리는 대화하고 있으며, 진전을 이루고 있다”며 “하지만 우리는 이미 EU와 (서한으로) 협정을 했다”고 말했다. EU의 보복 관세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들은 우리를 나쁘게 대했지만, 지금은 매우 친절하게 대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영국 스코틀랜드 방문 중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를 만나 양국 간 무역협정을 더욱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