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출시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디지털 자산 산업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실무 단계에서는 제도 정비가 늦어지면서 운용사들도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자산운용사들은 기존 액티브 ETF의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간접 대응에 나서고 있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스테이블코인 관련 종목이 급등하자 몇몇 운용사들이 관련 ETF 상품 출시를 검토했다. 하지만 한국거래소의 상장 심사까지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거래소 측은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ETF에 대해 아직 허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거래소는 이 기조를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스테이블코인은 관련 제도 정비가 우선돼야 심사 검토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은 일반적인 가상자산과 달리 가격 변동성이 적고 결제 수단으로도 활용도가 높아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엔 스테이블코인 관련주가 급등세를 타 일부 운용사들은 관련 종목을 ETF에 편입하거나 신규 상품을 출시하려는 움직임에도 규율 체계가 미비한 탓에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신규 상품 출시를 시도하기엔 아직 제도화가 덜 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부 운용사들은 리밸런싱을 통해 우회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기존 액티브 ETF의 구성 종목을 바꾸는 방식이다. 실제로 'TIMEFOLIO K이노베이션액티브 ETF'는 지난 6월까지만 해도 보유 비중이 0%였던 카카오페이를 최근 3.86%까지 늘렸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2.74%) 등도 새롭게 편입됐다. 'TIMEFOLIO 코스피액티브 ETF'도 지난 달 이후 카카오페이(1.29%) 등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를 잇따라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켰다.
ETF 업계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법제화가 이뤄지면 관련 상품도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도가 명확해지는 시점에 맞춰 상품을 출시할 준비는 이미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는 게 운용사들의 설명이다.
또 다른 운용사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코리아밸류업 ETF가 한꺼번에 쏟아졌던 전례를 보면 스테이블코인도 제도화만 되면 운용사들이 경쟁적으로 상품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며 "당국의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는 시점이 실질적인 출발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