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기준 국회 입법조사처 등에 따르면 미국 대통령이 지명한 후보가 인사청문회에 낙마한 경우는 1900년대 이후 3명으로 손에 꼽힌다. 미국의 인사청문회가 잘 운영된다고 평가받는 이유는 사전에 후보자의 도덕성 검증을 철저하게 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후보자가 정해지면 과거 자료 조사와 평판 확인, 청문회 등 3단계를 거친다. 후보자가 200개 이상의 질문으로 구성된 사전 질문지를 작성해 제출하면, 이를 바탕으로 백악관뿐 아니라 연방수사국(FBI), 국세청(IRS) 등이 2~3개월간 후보자와 가족의 평판과 도덕성, 법 위반 사항 등을 조사한다.
후보자가 철저한 사전검증을 통과하면 상임위원회 위원장 등과 협의를 거쳐 대통령이 후보자 인준동의안을 상원에 제출한다. 도덕적 검증을 통과한 후보자만 청문회에 서기 때문에 실제 청문회에선 후보자의 업무 능력과 정책을 중심으로 검증이 이뤄진다. 또 도덕성과 정책 검증이 끝난 만큼 상원에서 인준이 거부되는 사례도 매우 드물다.
한국의 인사청문회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선 미국의 사전 검증제도를 참고해 후보자에 대한 인사 검증 기능을 강화하고, 국회 동의를 필수요건으로 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의원내각제를 시행하는 영국은 2008년부터 사전인사청문회를 도입해 개인 신상보다는 업무 전문성과 적격성에 초점을 맞춘 질의를 하도록 하고 있다. 독일은 수시 검증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이원집정부제 대통령제인 프랑스는 총리가 내각을 구성하며 각 정당에서 검증한 인물들이 주로 장관을 맡고, 벨기에와 네덜란드는 현역 국회의원이 장관직을 맡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