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서도 북·중 우호조약 64주년…관계 회복 기류

  •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부위원장 참석…지난해 낮아졌던 참석자 급 격상

조선중앙통신은 비맘 10일 조약 체결 64돌에 즈음해 북한주재 중국대사관이 전날 연회를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0일 조약 체결 64돌에 즈음해 북한주재 중국대사관이 전날 연회를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북·중 우호조약 체결 64주년을 기념하는 연회가 평양에 이어 베이징에서도 열렸다. 올해 양측 참석자 급이 지난해에 비해 격상되며 북·중 관계가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3일 "조중(북·중) 우호, 협조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체결 64돌에 즈음해 중국주재 우리나라 대사관이 10일 연회를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우리 국회 격인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의 왕둥밍 부위원장이 주빈으로 참석했다. 이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 외교부, 국방부, 상무부 등 간부들이 초대됐다.

리룡남 주중 북한대사는 이날 연설에서 "조중 쌍방은 앞으로도 두 당, 두 나라 수뇌분들의 숭고한 의도에 맞게 복잡다단한 국제정치 정세 속에서 조약의 정신을 계속 발양하며 조중 친선관계 발전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둥밍 부위원장은 "두 당, 두 나라 로세대 령도자들께서 친히 마련하신 중조친선은 공동의 귀중한 재부"라며 "전통적인 중조 친선협조 관계를 훌륭히 수호하고 훌륭히 공고히 하며 훌륭히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전략적 방침"이라고 말했다.

북한과 중국은 1961년 7월 11일 '한쪽이 몇몇 동맹국의 침략을 받을 경우 전쟁 상태로 바뀌는 즉시 군사적 원조를 제공해야 한다'는 자동군사개입조항 등을 담은 '조중우호, 협조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을 체결한 뒤 매년 이를 기념하는 연회를 개최해 왔다.

지난해 63주년 행사에는 북·러 밀착과 맞물려 북·중 관계가 다소 소원해지며 허핑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외사위원회 주임이 참석했으나, 올해는 주빈의 격이 복원된 모습이다.

앞서 9일 평양에서 열린 연회에는 북측에서 강윤석 최고인민위원회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이 참석하며 지난해 김승찬 김일성종합대학 총장의 참석으로 낮아졌던 주빈의 격이 회복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