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EU와 멕시코에 대해 상호관세율 30%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상호관세에서 발표된 대EU 관세(20%)보다 10%포인트 높고, 5월에 언급한 50%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멕시코는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 체결국으로 4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이번에 새로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가 미국 내 펜타닐 유입 차단에 충분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관세 부과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EU는 협상 의사를 밝히는 한편 보복 가능성도 열어뒀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우리는 8월 1일까지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필요하다면 비례적 대응조치 채택을 포함해 EU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EU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한 보복관세 90일 유예 기간이 14일 종료되는 가운데 이를 발효할 지도 관심사다.
브라질 역시 협상과 함께 보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은 현지 매체 헤코르드TV에 “우선 협상을 시도하겠지만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때 상호주의 원칙이 적용될 것”이라며 “그들(미국)이 우리에게 (관세율) 50%를 부과한다면 우리도 50%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은 국가별 상호관세에 그치지 않고 구리·의약품·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로도 확산되고 있다. 특히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50% 구리 관세가 정제 구리 및 반제품 형태까지 포함될 수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를 막론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날로 가중되는 상황이다.
트럼프 1기 당시 상무부 장관을 지낸 윌버 로스는 “관건은 트럼프가 현재 협상안을 수용할 것인지 아니면 상대가 더 양보할 여지가 있는지 여부”라면서 “최악에는 트럼프는 관세를 실제로 부과하고 그대로 끝내버릴 것”이라고 블룸버그TV에 말했다.
반면 트럼프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가 실질적 외교 성과보다는 ‘강경한 지도자’ 이미지를 부각하려는 정치적 의도에 무게를 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라인시 연구위원은 “그에게 중요한 것은 승리이다. 공개적이고 가시적인 승리의 모습이 중요하다"며 "무엇을 얻는지는 그보다 덜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협상국들은 “‘최소한의 피해만으로 어떻게 트럼프에게 승리를 줄 것인가’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