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권 시절 출범한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가 물갈이 수순에 들어갔다. 민간 분과위원들이 전원 사임하면서다. 대통령실 직속 기관인 만큼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 기조에 맞는 새로운 인물들로 채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IT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가AI위원회의 민간 분과위원 전원이 사임했다.
국가AI위원회는 인공지능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로, 지난해 9월 출범했다. 위원장은 대통령이며, 민간 전문가 30명과 주요 부처 장관급 인사 10명, 민간 전문가 30명과 주요 부처 장관급 인사 10명,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간사),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부위원장으로는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이 맡았다. 각 분과위원장으로는 △기술·혁신분과위원장 조성배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산업·공공분과위원장 고진 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인재·인프라분과위원장 김선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법·제도분과위원장 강민구 법무법인 도울 대표 △안전·신뢰분과위원장 오혜연 KAIST 전산학부 교수가 맡았다.
위촉직 위원으로는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인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 등이 포함됐다.
대통령실 관계자 등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현재 새로운 국가AI위원회 민간 분과위원 구성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태다. 이달 중에는 새로운 국가AI위원회 위원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성배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국가AI위원회 기술·혁신분과위원장)는 “최근 위원회 회의에서 논의 끝에 민간 분과위원 전원이 사임하기로 결정했다”며 “후속 정부가 해당 정책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고, 논의 끝에 정책 보고서를 작성해 넘기는 방식으로 마무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가AI위원회는 출범 10개월 만에 전원 물갈이가 진행되면서, 윤석열 정권의 위원회 성과는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