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공공녹지를 보존하고 도시 난개발을 차단하기 위해 현재까지 열악한 재정 여건 속에서도 총 사업비 2706억원을 투입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중 축구장 197개 면적에 해당하는 1.4㎢ 규모의 부지를 매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를 지키지 않으면 공원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내린 결정으로, 매입된 부지 규모는 전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14.3㎢) 중 국공유지(4.3㎢)를 제외한 나머지 사유지(10㎢)의 약 14%에 해당된다.
세부적으로 시는 △덕진공원 0.668㎢ △효자묘지공원 0.165㎢ △인후공원 0.168㎢ △기린공원 0.063㎢ △산성공원 0.049㎢ △완산공원 0.056㎢ △다가공원 0.01㎢ △화산공원 0.064㎢ △천잠공원 0.034㎢ △황방산공원 0.122㎢ △삼천공원 0.001㎢ 등 도시공원 부지를 단계적으로 확보했다.
또한 한정된 재원을 고려해 공원의 산책로 등 필수 이용 시설을 우선 확보함으로써 공원의 핵심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시민의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고 난개발도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매입 부지의 규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시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공원 기능을 지키기 위한 선택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현재까지 확보한 부지를 활용해 각종 공모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재 중앙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주요 사업은 △동부권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덕진공원) △덕진공원 대표관광지 육성사업(덕진공원) △완산권역 산불대응센터 신축(완산공원) △국립후백제 역사문화센터 건립(기린공원) 등으로, 시는 공모사업에 선정된 부지들을 중심으로 생활기반시설과 도시숲 조성, 문화체험 공간 등 시민 체감형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현재까지 확보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가 단순한 토지 매입을 넘어, 시민과 미래세대를 위한 도시환경 자산을 지켜내는 중대한 전환점이자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시는 앞으로도 중앙정부와 협력해 신규 공모사업을 발굴하고, 민간특례사업 등을 통해 재정 부담을 분산할 계획이다. 동시에 나머지 부지에 대해서는 공원 해제 이후에도 질서 있는 점진적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도시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노숙인 맞춤형 보호 대책 추진
전주시는 노숙인들이 폭염이나 집중호우에 무방비로 노출되지 않도록 노숙인 거점지역 순찰을 확대하고, 거리노숙인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 및 응급잠자리 지원 등 맞춤형 지원을 통해 위기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현재 전주지역에는 시설 노숙인 99명과 거리노숙인 20명이 생활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시는 노숙인 시설 3개소와 대응체계를 구축해 거리노숙인들이 위기 상황에서 즉시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노숙인 응급잠자리 24시간 운영을 강화했다.
특히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과 8월에는 중점 보호기간을 운영하며 에어컨과 선풍기 등 냉방시설과 샤워 시설이 갖춰진 시설을 즉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또한 시는 노숙인의 안전 및 건강관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숙인 현장 순찰과 긴급구호 활동을 평일·주말 구분 없이 실시하고, 쿨토시와 습식타월 등 구호 물품을 지원한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해 거리노숙인 보호를 위한 아웃리치활동을 통해 거리 상담 79건과 병원입원 5명, 시설입소 8명 등의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