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한은 금통위는 7월 통방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2.50%로 묶었다. 5월에 이어 또 금리를 낮춰 시중에 돈이 더 풀리면 이미 최근 수개월간 오른 수도권 집값과 가계대출을 부추길 위험을 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은 지난해 10월 금리 인하 사이클에 돌입해 현재까지 총 4차례 인하했으며,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100bp(1bp=0.01%포인트) 낮아졌다. 지난해 10월, 11월, 올해 들어선 지난 2월과 5월 금리를 내렸다.
일단 한차례 숨을 고른 뒤 새 가계대출 관리 방안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의 효과, 이달 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상황 등을 지켜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역대 최대(2.0%포인트)로 벌어진 미국과 금리 차와 추경 등 재정정책의 경기 부양 효과 역시 동결 배경 요인으로 꼽힌다.
이날 금통위 통방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 총재가 현재 부동산·가계대출 등 금융시장 상황을 어떻게 진단할지, 하반기 이후 미국 관세 여파를 어느 정도로 예상할지, 이를 반영해 연내 몇회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할지 주목된다.
일단 시장에서는 8월에는 금통위가 금리를 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6·27 부동산 대책 효과로 집값이 안정될 가능성이 크고 높아진 관세율로 인한 성장 하방 압력은 더 커지면서 인하 요건이 갖춰질 것이란 전망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부터는 높아진 관세율, 미 연방준비제도의 9월 인하 가능성, 정부의 부동산 정책 효과가 확인될 전망"이라며 "이에 8월 이후에는 한은의 정책 공조 테마가 금융안정에서 다시 경기 부양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짚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6·27 대책은 사실상 서울에 집을 못 사게 만든 정책으로 집값, 가계부채 모두 안정을 찾을 것"이라면서 "한은은 지난해 10월에도 부동산 시장이 완전히 안정화된 것이 아니라 진정되던 중 금리를 인하했으며 현재 경제 상황은 당시보다 훨씬 부진하기에 8월 인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