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8월로 연기 배경에는 베선트 등 측근 조언"

  • WSJ, 소식통 인용해 보도…트럼프. 서한 발송해 막판 양보 압박 전략 선택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사진AP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현지시간)로 연기한 배경에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등 측근들의 조언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관세 부과 강행 쪽으로 기울었지만 베선트 장관이 “몇몇 무역 합의가 임박했으니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설득하면서 입장을 바꿨다고 8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발표 직전 주말 뉴저지주 베드민스터에 있는 개인 골프장에서 측근들과 전화 및 비공식 논의를 벌였다. 그는 당시 8월로 새로운 관세 부과 기한을 설정할지, 아니면 날짜 없이 관세율만 명시한 서한을 보낼지 저울질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측근들과의 통화에서 주요 교역국들이 미국이 요구하는 수준의 양보를 내놓지 않는다며 불만을 쏟아냈다고 WSJ는 전했다. 그는 특히 최근 자신이 서명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과 이란 공습으로 정치적 승기를 잡았다고 판단해, 이 기세를 무역 협상에서도 이어가겠다는 뜻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시행을 8월로 연기하고, 교역국들에 서한을 보내 막판 양보를 압박하는 전략을 택했다. 그는 이날 “이틀 안에 유럽연합(EU)에도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며 추가 서한 발송 계획도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CNBC에서 “앞으로 이틀 안에 세계 각국 정상에게 15∼20건의 추가 관세 서한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 부과를 거듭 강조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에도 강경 기조를 유지했다. 그는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관세는 2025년 8월 1일부터 시행된다. 이 날짜에는 변동이 없으며,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내각회의에서도 “서한은 일종의 무역 합의”라며 "협상은 계속되고 있지만, 서한을 보낸 것 자체가 협정”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별개로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해 반도체, 구리,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도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구리는 50%, 의약품은 최대 200%의 관세를 예고하면서도 의약품 관세의 경우 최대 1년 반의 유예기간을 두고 발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은 구리 관세 발표가 이날 중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아직 공식 발표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반도체 및 의약품 관세율 보고서는 8월 1일까지 공개할 계획이다.
 
러트닉 장관은 관세 서한을 받은 국가들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와 규제를 대폭 완화하면 관세율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이 서한을 보내면서도 ‘미국을 대하는 방식을 바꾼다면 재고할 수 있다’는 문구를 넣었다”고 강조했다.
 
윌버 로스 전 상무장관은 “마감일만큼 협상 테이블로 상대를 끌어내는 효과적인 수단은 없다”며 이번 관세 서한이 강력한 압박 수단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