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의 이란 핵시설 폭격을 계기로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대화가 성사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30일(현지시간) CSIS가 미국의 대이란 공습이 북한·중국·러시아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미국의) 대이란 공습의 대가 중 하나는 북한의 CVID가 기본적으로 끝장난 것인지도 모른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차 석좌는 북한 입장에서는 이란을 타격한 것과 같은 미국 벙커버스터 10여기가 북한에 떨어지는 상황을 핵무기가 막아줄 것이라고 여기며, 자신들이 '올바른 길'(핵무장)을 택했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번 미국의 대이란 공격이 실질적으로 북·미 협상 재개를 유도할 가능성을 두고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북한이 미국의 벙커버스터 공격을 면할 목적으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며, 이번 미국의 대이란 공격이 북·미 대화의 공간을 창출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또 미국 트럼프 행정부로서도 북한의 대러시아 무기 제공, 이란의 우라늄 농축 시설 재건 지원을 포함한 이란과 북한 간 협력 등을 막기 위해 북한과의 협상에 나설 이유가 있다고 분석했다.
결국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한 대화는 어려워졌지만, 자신들의 안보 이익을 위해 양측이 상대와의 대화에 나설 이유는 존재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그는 오는 10월 말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한할 경우 판문점에서 다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가능성에 주목했다.
한편 차 석좌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북한이 지원하는 과정에서 북·러가 밀착한 상황이 한반도뿐 아니라 중동을 포함한 다른 지역 안보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대북 영향력이 약해지고, 러시아가 북한의 그 어떤 행위도 허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이란을 위해 무엇인가를 할 경우 중동에도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