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주말 지원금 인상에 가입자 3000명 급증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SK텔레콤(SKT)이 지난 주말 갤럭시 S25와 아이폰 16 모델의 공시지원금을 상향한 것과 관련해 “경쟁사도 지원금과 장려금을 높이고 있다"며 "판매점 영업을 위한 최소한의 방어 차원에서 대응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27일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열린 해킹 사건 관련 브리핑에서 SKT는 통신사 이동이 없는 기기 변경뿐 아니라 번호 이동 가입자에 대한 지원금도 늘렸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해킹 사고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심 교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SK텔레콤에 대해 신규 가입자와 번호 이동 수요를 받지 말라는 행정지도를 내렸다. 이 조치는 전국 2600개 T월드 매장에 해당되며, 통신 3사의 영업을 함께하는 형태의 일반 판매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지난 주말 SKT의 공시지원금 상향 후 가입자 수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 신규 모집이 중단된 지난 5일 기준, KT와 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이동한 가입자는 648명으로 1000명 아래로 떨어졌으며, 이후에는 하루 100명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공시지원금 상향이 적용된 26일에는 번호 이동 가입자 수가 3033명으로 급증했다.

임봉호 MNO(이동통신) 사업부장은 “기존 고객의 이탈을 최대한 방어할 목적으로 판매점의 신규 유치 장려금을 상향했고, 이심(eSIM) 사용자에 대한 지원 정책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다음 달 말 해킹 사고 조사 결과가 나온 이후 지원금 정책이 변화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신규 영업 중지에 따른 대리점 피해에 대해서는 "원칙적인 보상안과 함께 신규 가입 모집 중지의 해제 시점에 구체적인 보상안에 대해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T는 새롭게 확보한 유심 물량을 판매점이 아닌 직영점과 대리점에 우선 공급하고 있으며, 일부 기기 변경에 필요한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량 교체 작업에 투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희섭 PR센터장은 “유심 교체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해 고객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이탈한 고객들도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T는 지난 22일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한 ‘고객 신뢰 위원회’ 회의를 열고, 통신사 해킹은 물론 다양한 사건·사고를 겪은 국내외 기업들의 신뢰 회복 사례를 검토했다. 단, 어떤 기업의 사례를 참고했는지는 기업별 상황을 고려해 공개하지 않았다. 위원회에서는 SK텔레콤이 정보보호에 대한 장·단기 투자 계획을 구체화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김희섭 PR센터장은 “국내외 다른 기업의 위기 대응 사례와 신뢰 회복 성공·실패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면서 “이번 사고로 인한 신뢰 회복을 위해 정보보안 투자 계획 등 장단기 로드맵을 구체화하는게 좋겠다는 조언도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의 유심 누적 교체 수량은 459만개이며, 잔여 예약은 444만개다. 지금까지 유심 재설정에는 22만9000명이 참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