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총파업 예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노사 간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난항을 겪으며 파업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등에 따르면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27일 막판 교섭을 진행한다. 양측은 총 9차례 본교섭과 지난달 29일 임단협 2차 조정 회의가 결렬된 이후 최근까지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갈등의 핵심은 통상임금 문제다. 사측은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하고 노조의 인상 요구를 들어줄 경우 25% 임금 인상 효과가 발생, 경영상 부담이 적지 않다고 강조한다. 이에 임금체계 개편을 주장하고 있다.
준공영제를 운영하는 서울시도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이 재정 부담을 야기한다며 사측과 동일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반면 노조는 통상임금은 노동자의 권리고 법원에서 해결해야 할 사안이며 이번 교섭 대상이 아니라고 반박하고 있다. 임금 인상률을 우선 협상하자는 것이다.
노조는 이날까지 협상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28일 첫차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올해는 다른 지자체의 동시 파업 확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은 22개 지역별 산하 버스노조의 임단협 협상 결렬 시 28일 동시 총파업을 예고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전날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점검하고 노조의 불법 조업 방해행위에 대한 대응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최소 3일 이상 파업에 대비할 계획”이라며 “이미 지난 4월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했으며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가용 가능한 모든 교통수단을 동원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파업 시 시는 출퇴근 시간을 중심으로 지하철 하루 운행을 173회 늘리고 막차 운행 시간을 연장한다. 자치구는 시내버스 공백을 메우기 위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