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6·3 대선 기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선 이후 초기 집권 구상을 밝혔다. 짙은 빨간색과 파란색이 섞인 넥타이를 착용하고 나타난 이 후보는 간담회 내내 "정치 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며 일선에서 제기되는 우려들을 불식했다. 아울러 사법 개혁, 검찰 개혁 등 이견이 큰 조직 개혁 과제는 차후로 미뤄두고 민생 경제 회복에 국가 역량을 총집중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이 후보는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제가 만약 국민의 선택을 받게 된다면 가장 먼저 대통령이 지휘하는 '비상경제대응 TF'를 구성하겠다"며 "즉시 실행 가능한 민생 경제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 '불황과의 일전을 치른다'는 일념으로 내수 침체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TF 구성과 성격에 대해서는 대통령 지휘 아래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 부처의 실무진을 참여시키겠다는 설명을 내놓았다. 이 후보는 "경제 문제가 현재 너무 긴급한 사안"이라며 "(부처를 거치기에는) 계단이 많으니 해당되는 실무 지휘자 그룹들을 모아서 직접 챙길 것"이라고 부연했다.
경기 부양을 위한 우선 과제 중에는 민생 경제와 첨단 산업 지원 중 민생 경제가 더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국민들의 고통이 너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당장 급한 불을 꺼야 할 것 같다"며 "산업 지원을 위한 추경은 지금 당장은 어려울 수 있고, 골목상권과 민생 어려움 해소를 위한 추경에 더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인공지능(AI)이나 딥테크 등 첨단 산업과 미래 기술에 대한 전폭적 투자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규제 완화도 병행하겠다고 언급했다. 이 후보는 "모든 것을 사전 승인받아야 가능한 체계는 비효율적이며, 관료주의가 혁신을 막고 있다"면서 '네거티브 규제' 도입 방안을 제시했다.
사법 개혁, 검찰 개혁 등은 '후순위 과제'로 미루겠다고 공언했다. 이 후보는 "국민들이 너무 분열되고 대립·갈등을 겪고 있다. 국가적 에너지를 모아서 난국을 타개해야 하는데, 급하지 않은 갈등적 사안에 집중하면 에너지를 모으기 쉽지 않다"며 "제도 개혁이나 사법 개혁, 검찰 개혁도 중요하지만, 여기에 조기에 주력해서 힘을 뺄 상황은 아닌 것 같다. 모든 에너지를 초기에는 경제 회복과 민생 회복에 둬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도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검찰·경찰·방송통신위원회 등 주요 기관 인사에 대한 국회 임명 동의 절차 마련 등 정치 개혁 공약들을 제안했다. 당선 시 협치를 중시하는 '국민통합 정부'를 꾸리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대선 과정에서 상대 정당과 겹치거나 공통된 공약의 경우 함께 추진하며 정책 면에서부터 통합을 이루겠다는 청사진이다.
이날 기자들과의 질의 시간에는 선거대책위원회에서 다음 일정을 위해 이동해야 한다며 만류함에도 추가 질의를 받으며 긴 시간 간담회를 이어갔다. 그 과정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이준석 후보는 국민의힘 대표를 지내다 (당내 경쟁에서) 밀려 나왔을 뿐이지 스스로 나온 것은 아니지 않나"라며 "결국은 다시 합쳐 보수 정당의 주도권을 갖고 싶어 하는 것 같고, 당권 양보·총리 보장 등과 같은 여러 설이 나오는 것 보면 (단일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4년 연임제'와 관련된 질의에는 "연임제는 첫 임기를 마치고 국민의 평가가 있게 되긴 하지만, 최대 8년 동안 임기를 이어갈 수 있어 정책의 연속성을 담보하는 제도"라며 "중임제는 첫 4년 임기를 마치고 연임에 실패했는데도 나중에 또 다시 나올 수 있다. 미국 등이 대표적 사례다. 그런 점에서 연임제가 적합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