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으로 1조6146억원을 편성했다.
시는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고 26일 서울시의회에 제출, 심의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추경 예산 규모는 올해 예산안(48조1545억원)의 3.4% 수준인 1조6146억원이다. 원안대로 통과되면 올해 예산은 49조7691억원이다.
추경 예산은 민생안정, 도시안전, 미래투자 3대 분야에 초점을 맞췄다. 각 분야에 총 7620억원을 핀셋 투자한다.
경기 불황으로 인한 소비 위축, 수출 부진 등 대내외 복합위기 상황에서 민생을 최우선으로 살리겠다는 취지다. 아울러 지반침하 등 각종 사고로부터 시민 안전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시는 민생안전 분야에 4698억원을 편성한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일자리 지원에 529억원, 어르신·장애인 등 취약계층 복지 지원에 2986억원, 저출생 대책 강화에 1183억원을 투입한다.
소상공인 성장을 도울 50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더성장 펀드 조성에 7억원을, 저신용·생계형 소상공인 대상으로 마이너스 통장 방식의 안심통장 공급에 18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수출감소 긴급 융자지원(112억원) 등을 추진하고, 취약계층 복지서비스 강화를 위해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36억원), 중장년 가치동행일자리 확충(22억원) 등 내용이 담겼다.
저출생 대책 강화는 서울형 공공예식장 확대(19억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개선(55억원), 주말특화 서울형 키즈카페(17억원) 등이다.
아울러 도시안전 분야에 1587억원을 투입한다. 지반침하 대책에 1462억원, 안전인프라 보수·보강에 125억원을 투자한다.
30년 경과 노후 하수관로 정비에 1352억원을 투입해 올해 안에 65.9㎞를 추가 정비한다. 이밖에 지반침하 방지책으로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및 기술진단(40억원), 대형 굴착공사장 GPR탐사 강화(56억원) 등을 추진한다.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한 신림 공영차고지 내 빗물저류조 설치(29억원)를 진행한다.
끝으로 인공지능(AI)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도 단행한다. AI 산업기반 조성에 354억원, 여의도공원 재구조화 등 글로벌 매력 제고에 981억원을 투입한다.
정상훈 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추경은 장기적인 경제 불황 속 민생을 최대한 지키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버팀목 지원이 핵심”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의회 의결 즉시 추경 예산을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