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는 지난 22일 경상북도 동부청사에서 안동시, 의성군, 영양군, 청송군, 영덕군, 경상북도개발공사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담당자가 참석한 가운데 ‘신재생e 숲 조성’ 관계 기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3월 발생한 산불 피해 지역(5개 시군)을 대상으로 산불 피해 극복과 조속한 지역 재건을 위해 산림재창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공공 기관이 주도하고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지역 상생형 ‘신재생e 숲 조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회의에서는 △산불 피해 지역 풍력 사업 기초 자료 현황 보고 △기존 사업 중복 여부 및 산불 피해 지역 생태자연도 등급 조사 보고 △육상 풍력 조성으로 산불 등에 따른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과 재난 대응 역량 강화 사례 발표와 풍력 발전단지 집적화단지 내 유휴부지 등 재생 e(태양광 등) 설치 등을 중심으로 시군 부서 담당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으며, 신재생e 숲 조성을 통한 지역 상생 전략을 논의했다.
우선, 풍력단지 내 고지대 모니터링 감시 체계(cctv, 드론, 열화상카메라 등) 설치로 조기 감시가 가능하고, 진입로를 통해 소화 장비와 인력이 신속한 접근을 할 수 있었으며, 저수조와 취수장 구축을 통한 소방용수 공급으로 초기 진화 대응 체계가 마련되어 풍력단지 자체로 산불 확산을 저지하는 방화선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참가자들은 앞으로 관련 사업 추진 시 이러한 기능을 고려한 인프라 확대와 제도 개선에 관해 토론했다.
아울러 ‘신재생e 숲 조성’ 사업은 산불 피해 지역을 중심으로 공공 주도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면서, 집적화단지·주민참여형 모델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새로운 소득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발전단지 일대를 관광 단지로 연계 개발해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석표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산불 피해 지역에 신재생e 숲을 조성하고, 지역사회 재건을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며 “산불 피해 지역의 산림과 토지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복원하고, 침체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