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1분기 신규 중·저신용대출 비중 목표치 미달

  • '평균잔액 기준 30% 이상'은 모두 달성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올해 1분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공급 목표를 모두 초과 달성했다. 그러나 케이뱅크는 올해부터 추가한 '신규 취급액 기준 30% 이상' 기준을 유일하게 달성하지 못했다.

23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1분기 전체 신용대출 평균잔액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35%를 기록했다. 이는 인터넷은행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해 4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35% 이상을 상회한 것이다.

케이뱅크가 1분기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2544억원으로, 2017년 출범 이후 누적 공급액은 7조4203억원이다.

다만 1분기 신규 취급액 평균 잔액 기준으로는 26.3%를 기록해 목표치를 미달했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인터넷은행에 '평균 잔액 기준' 30% 이상과 '신규 취급액 기준' 30% 이상이라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케이뱅크는 "평균 잔액은 조기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며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았던 2~3월 반영률이 1월보다 낮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는 1분기 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평균 잔액 비중이 3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규 취급한 신용대출에서 중·저신용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33.7%로 목표치인 30%를 상회했다.

1분기 카카오뱅크는 6000억원 규모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을 공급했다. 2017년 7월 출범 이후 카카오뱅크가 취급한 중·저신용 대출은 누적 13조원을 넘어섰다.

토스뱅크의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도 34.3%로 2024년 새 기준 도입 이후 5개 분기 연속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올해부터 새롭게 도입된 신규취급액 비중 목표도 30.4%를 기록했다.

토스뱅크는 현재까지 총 32만8000명의 중·저신용자에게 총 9조원의 대출을 공급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단순히 대출을 공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포용금융에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글로벌 경기 불안 요소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며 출범 이래 지켜온 포용금융의 가치가 지속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