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중국발 저가 공세에 공동 대응 모색한다

  • 미국과 EU의 중국 저가 소포에 대한 관세 움직임 본격화

  • 트럼프발 관세 전쟁 속 공동성명 여부 '주목'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20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린 G7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20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린 G7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개막한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서방 국가들이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20일(현지시간) 캐나다 주요 일간지 글로브앤메일에 따르면 프랑수아 필립 샴페인 캐나다 재무장관은 이날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개막식 기자회견에서 중국 전자상거래업체인 쉬인과 테무를 중심으로 들어오는 중국발 저가 상품에 대한 대응이 이번 회의의 주요 안건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문제는 우리가 G7 차원에서 논의를 시작한 사안으로, 각국으로 유입되는 저가 화물에 관한 것이다"라며 "이는 예상할 수 있듯이 국경 통제 문제를 비롯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고 말했다. 이는 중국의 소비 부진 속에 중국 내 생산품들이 저가에 세계 시장으로 쏟아져 나오면서 공급 과잉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인식에서다.

실제로 이날 마로시 셰프초비치 유럽연합(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쉬인과 테무를 겨냥해 앞으로 제3국에서 들어오는 저가 소포에 1건당 2유로(약 3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2일부터 800달러 미만 소포에 대한 최소 면세 조항을 폐지하고, 중국발 소포에 120%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도 했다. 지난주 미·중 양국이 90일간 서로에 대한 관세를 115%포인트씩 인하하는 '제네바 합의'를 맺은 후, 중국발 소포 관세도 54%로 낮아졌지만 이 역시 높은 수준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G7 국가들이 무역 불균형과 비시장적 관행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원한다고 전했다고 AFP 통신은 보도했다. 특히 그는 중국의 국가주도 경제 모델에 대응할 것을 촉구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에서 G7 국가들이 관련 사항들에 합의된 의견을 도출하면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이는 내달 15~17일 캐나다에서 있을 G7 정상회담의 주요 안건으로 채택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회의가 상호관세를 비롯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속에 열리는 가운데 미국과 다른 국가들 간 의견을 모을 수 있을지 여부가 관심사다.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회의에서 어떤 합의가 도출되려면 트럼프 행정부의 우선순위와 일치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22일까지 열리는 이번 회의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등 G7 국가들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 및 우크라이나 재무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 경제와 경제 안보, 우크라이나 상황, 금융 범죄, 인공지능(AI) 등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한편 일본 교도통신은 베선트 재무장관과 일본 재무상이 이번 회의를 계기로 환율 문제와 관련해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아울러 미국과 다른 국가 간의 양자회담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