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현대차·기아의 1분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는 1~3월 중국 시장에서 약 2만9000대의 차량을 판매해 지난해 4만7000대 대비 38% 줄었다. 기아도 같은 기간 2만대에서 1만8000대로 약 9.9% 감소했다. 양사는 중국 시장 전략에 대해 '수익성 중심', '출혈 경쟁 최소화' 등 전략을 내세웠다. 가격 경쟁에 직접 뛰어들기보다는 주요 차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내실을 다지는 데 중점을 뒀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중국 시장 점유율은 날로 감소 추세다. 2016년 양사 합산 6.1%에서 2024년 1.6%까지 떨어졌다. 중국 자동차 시장이 매년 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명백한 역성장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중국 연간 내수 판매량 15만4244대로 20만대선이 무너졌는데, 올해는 이보다 더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도 현대차그룹은 중국 시장 공략에 힘을 더욱 쏟고 있다. 회사는 지난해 12월 베이징자동차(BAIC)와 함께 베이징현대에 10억9600만 달러(약 1조56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베이징자동차는 현대차와 베이징현대의 합작법인을 세운 업체다.
현대차그룹이 계속된 고전에도 중국 문을 두드리는 이유는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인데다가, 특히 전기차·하이브리드차 판매량 성장세가 크기 때문이다. 한자릿수 시장점유율만 확보해도 상당한 판매가 이뤄지는 셈인 만큼 중국 시장 공략을 포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중국 고객 확보를 위한 차별화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지속되고 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보다 가격적으로 저렴할 수는 없겠지만, 대신 중국의 중저가형 자동차보다 더욱 좋은 성능으로 승부해 틈새 시장을 노려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