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을 뽑는 공식 선거운동이 개시되면서 각 후보들은 밥상 물가와 민생 경제 문제 해결의지를 강조하고 나섰다.
1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의 10대 정책공약을 살펴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모두 1번으로 '경제'를 내세웠다.
이재명·김문수 후보 모두 내수 침체 장기화로 직격탄을 맞은 영세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을 적극 지원한다는 내용을 대표 공약에 담았다.
지역사랑상품권 및 온누리상품권 발행 규모를 확대해 소상공인·자영업자 활기를 도모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는 소상공인 경제 구축하기 위해 '소상공인 내일채움공제'를 도입하고, 폐업지원금 현실화 및 폐업시 대출금 일시상환 유예 요건도 완화하겠다고 발표했다. 12·3 비상계엄으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에게도 지원도 약속했다.
김 후보는 위기에 빠진 소상공인에게 긴급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응급 지원 3대 패키지'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매출액이 급감한 소상공인을 위한 생계 방패 특별 융자, 경영안정자금 지원 확대, '소상공인 새출발 희망프로젝트' 지원금 확대 등이 패키지에 포함됐다.
김 후보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단'을 설치하는 것을 이행 첫 순위로 올렸다. 소상공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정부 차원에서 통합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또한 서민·소상공인 전문은행 설립으로 금융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한편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달 21일부터 25일까지 중소기업·소상공인(제조업·비제조업) 60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21대 대통령에게 바란다 중소기업계 의견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 75.7%는 차기 대통령이 갖추어야할 능력·조건으로 '경제성장 견인능력'을 꼽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