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카드 "K-결제 인프라, 차세대 경제협력 모델로 발전시켜야"

  • "결제망은 중요 간접자본…정부 지원 통해 수출 사업으로"

우상현 BC카드 부사장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소재 서울관광플라자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춘계 정책 세미나 금융 인프라 수출 전략 및 기대효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BC카드
우상현 BC카드 부사장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소재 서울관광플라자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춘계 정책 세미나 '금융 인프라 수출 전략 및 기대효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BC카드]

BC카드가 금융 공급 인프라인 ‘K-결제’를 차세대 경제협력 모델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BC카드 산하 신금융연구소 우상현 부사장은 지난달 30일 서울관광플라자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산업연구원·한국은행 공동 주최 춘계 정책 세미나에서 "금융 인프라 수출을 차세대 경제협력 모델이자 정부 차원의 전략적 과제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현지 금융사를 인수해 여수신 사업을 전개하는 방식이 아닌 40여년 간 축적된 결제 인프라 구축 및 운영 기술력과 노하우를 전수하자는 얘기다.

그는 BC카드의 해외 결제 인프라 구축 사업을 대표 사례로 제시했다. BC카드는 2014년부터 △인도네시아 △베트남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아시아 주요 개발도상국의 중앙은행과 함께 결제 인프라 구축 및 고도화 사업을 진행해왔다. 그 결과 BC카드의 지급결제 프로세싱 기술력을 전수받은 상대국은 자체 인프라 구축과 함께 결제 주권을 확보하고, 결제망 일원화를 통해 인프라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실제 인도네시아는 기존 단일 은행 중심의 결제망을 16개 은행으로 확장하고, 통합 단말기 개발을 통해 결제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키르기스스탄은 K-결제 인프라 도입을 통해 공공 바우처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며, 우즈베키스탄은 AI 기반 신용평가 모델을 도입해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우 부사장은 결제망 인프라 구축 사업을 정부 차원의 국가 전략 사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도 제안했다. 금융 인프라 구축은 국가 경제와 직결되는 사회간접자본인 만큼 정부 지원을 통한 중장기적 추진이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금융 인프라 수출 전략에 정부 차원의 육성과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지속 가능한 수출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