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은 제21대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테마주 불공정 거래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집중 제보기간을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금감원은 최근 정치 상황이 급변함에 따라 정치테마주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이에 편승한 불공정거래 및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며 이같이 알렸다.
정치테마주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이달 18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되고 정치인 및 정책과 관련된 60개 종목이다. 이들 종목의 평균 자산총액은 코스피 4317억원, 코스닥 994억원으로 시장 평균 대비 각각 12.8%, 49.7% 수준인 중소형주다.
부채비율은 코스피 정치테마주가 180.3%, 코스닥 정치테마주는 64.3%다. 11개 종목에서 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하거나 부분 자본잠식 등 재무구조가 취약하다.
정치테마주의 지난해 말 평균 당기순이익은 코스피 -10억원, 코스닥 -5억원 등 수익성이 시장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평균 영업이익률은 코스피 1.1%, 코스닥 0.8%로 시장 평균(코스피 6.8%, 코스닥 4.2%) 대비 저조하다.
특히 28개 종목의 이자보상비율이 1 미만으로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조차 상환할 수 없는 상태라고 금감원은 강조했다.
그러나 지난달 22일 기준 정치테마주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배로 시장 평균 대비 2배 이상 고평가된 상태다. 특히 14개 종목은 PBR이 3배 이상으로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상당히 고평가됐다.
지난해 12월 3일부터 이달 22일까지 정치테마주 지수의 일별 주가등락률은 최저 -6.5%에서 최고 18.1%, 일간 변동성(표준편차)은 시장 평균(코스피 1.04%) 대비 3배에 달하는 3.3%로 변동성이 매우 높아졌다.
탄핵 이후 2017년 실시된 19대 대선 때도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주가 급등락을 반복하다가 선거일 전·후 주가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하는 등 주가를 예측하기ㅏ 어렵고 주가 변동성도 높아 투자 위험성이 높다.
금감원은 정치테마주 특별단속반을 확대 운영한다. 단속반 반장을 기존 시장정보분석팀장에서 조사1국장으로 격상한다. 아울러 주요 정보 전달 매체, 이상 급등 종목, 민원·제보 다수 종목, 대주주 대량매도 종목, 최근 대규모 전환사채(CB) 주식 전환 종목 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정치테마주 집중 제보기간도 운영한다. 포상도 최대 30억원까지 적극 검토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근거로 테마가 형성 또는 소멸되거나 단기간 주가가 급등락해 시장 혼란과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하기 바란다"며 "텔레그램 등을 통해 허위사실·풍문을 생산·유포하거나 이를 이용하면 불공정거래로 처벌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