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선제적 금리 인하와 관련한 질문에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리려면 경제 전망이 바뀌어야 하는데 현재까지 새로운 정보가 없기 때문에 경제 전망을 바꿀 필요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앞서 한은은 11월 경제 전망에서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2.2%, 내년 1.9%로 제시했다.
이 총재는 "6시간 만에 계엄이 해제됐기 때문에 금융시장 분위기도 단기적으로 뛰었다 내려왔다"며 "개헌 관련된 일은 단기적으로 있다가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영향은 작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탄핵 정국으로 들어서 우리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것과 관련해서도 "과거 노무현·박근혜 정부 탄핵 경험을 비춰보면 경제성장률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며 "정치적인 프로세스와 경제적인 프로세스가 분리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환율과 관련해선 "계엄 사태가 당연히 부정적 뉴스이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 1410원으로 약간 오른 상태지만, 이후 새 쇼크(충격)가 없다면 천천히 다시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국 경제의 신인도에 관해 "다른 주요국처럼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 문제나 재정 등 관련 정책 방향 차이로 정부가 붕괴한다거나 하는 경우와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순수하게 정치적 이유에 따라 계엄이 일어났다"며 "이처럼 (한국은) 경제 펀더멘털, 경제 성장 모멘트(동인·동력)가 있고, 이것들이 정치적 이유하고 분리돼 있는 만큼 신인도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 같지는 않다"고 예상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이번 계엄 사태에 대한 해외의 충격이 더 큰 것 같다"며 "국내에선 국내 정치 상황을 계속 봐 왔기 때문에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짐작이라도 하는데 해외에선 정말 쇼크가 온 것이라 제 전화기, 이메일로 정말 답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질문이 왔다"고 해외 반응을 전했다.
이 총재는 "내년 2월 경제 전망 발표 시 새로운 데이터를 보고 전망이 수정될 수 있으며 그 전망에 맞춰서 금리 경로나 이런 것들이 바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히려 지금 경기 전망 경로를 바꿀 수 있는 건 미국의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 우리 수출 모멘텀이 주요국과의 경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지 등 중장기적인 요인들이 더 전망을 바꾸는 데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