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민 현대차 자율주행SW개발2실 상무는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자율주행 산업 콘퍼런스'에서 "(자율주행·음성 AI 등) 기술 플랫폼 플레오스의 구성 요소를 총집약해 2028년 정도면 여러분께 완성품(풀스택 SDV)으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내년 3분기에는 자율주행 담당 AI인 '아트리아 AI'를 먼저 적용해 기술을 검증하는 페이스메이커 격의 '페이스카'를 공개하고, 2027년 4분기에는 아트리아 기반의 레벨 2플러스(+) 자율주행 기술을 일부 차량에 먼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레벨2+는 AI와 첨단 센서를 결합해 차량이 대부분의 주행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해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한 자율주행 기술이다.
이 상무는 이 기술이 우선 적용될 차량에 대해 "전기차에 우선순위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다른 차에도 빨리 적용할 수 있을지 지금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