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23일 발생한 충남 서천특화시장 대형 화재 현장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당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던 한동훈 대표가 만났다.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에 대한 한 대표의 발언, 김경율 비대위원에 대한 '사천(私薦)' 논란 등으로 두 사람이 갈등을 겪던 시기였다. 이 때문에 대통령 비서실장이 한 대표에게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화재를 수습하기 위해 예정된 일정을 취소하고 현장에 방문한 두 사람의 조우는 '갈등의 봉합'이란 단순한 표현부터 '약속 대련', '카노사의 굴욕' 등 그 의미를 자세히 헤아려 봐야 하는 갖가지 해석도 나왔다.
두 사람이 만난 장소의 상황을 두고 "화해 쇼"라는 야당의 비판도 뒤따랐지만, 같은 기차를 타고 서울에 올라오면서 논란은 일단락됐다. 다만 그로부터 7개월이 지난 이 시점에도 갈등의 상처가 완전히 아물지는 않은 것으로 보여 우려된다. 무엇보다도 이들이 화재 현장에서 처음 마주쳤던 모습이 지금까지도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란 개인적인 걱정이 들기도 한다. 그때 한 대표는 90도로 허리를 숙여 인사했고, 윤 대통령은 어깨를 두드려줬다. 수평적인 대통령실과 여당의 관계라면 적절하지 않은 장면이고, 상대를 대하는 그러한 태도가 계속해서 유지된다면 정상적인 당정 관계로 볼 수는 없다.
이후 4·15 총선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은 108석에 얻는 것에 그쳤다. 대부분 정치 전문가와 언론은 '참패'라고 평가했다. 지난 총선 결과를 불러온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일차적으로 선거를 지휘한 한 대표는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과 출국, 황상무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의 부적절한 발언 등 용산으로부터 초래된 원인이 있다는 평가도 부인할 수 없다. 이를 포함한 총선의 패인을 담은 국민의힘 총선 백서는 아직 발간되지 않았다.
총선 패배의 책임에도 한 대표는 7·23 전당대회를 거쳐 '전 비대위원장' 직함을 떼고 '현 당대표' 직함을 달았다. 전당대회 과정에서도 김 여사 문자 무시 논란 등 한 대표에게 악재로 작용한 요소도 있었지만, 한 대표는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나머지 3명의 후보와는 다른 견해를 드러내면서 주목을 받기도 했다. 결국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결선투표에 갈 필요도 없이 결론이 났다. 전당대회 결과가 총선의 패인을 판단하는 잣대는 아니지만, 선거인단과 일반 여론조사의 결과는 패인에 대해 어떤 선택을 했는지 충분히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제 한 대표와 여당의 역할은 자명하다. 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법안에 대해 윤 대통령은 벌써 21번째 재의요구권을 행사했다. 그 과정에서 여당의 존재감은 미미하기만 했다. 동료 시민을 위한 민생 법안이든, 때로는 민감한 쟁점 법안이든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 오죽하면 보수 언론에서도 여당 대변인 수가 야당보다 많은데도 횟수와 내용에서 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지적하지 않는가. 김종혁 당대표 지명직 최고위원의 말대로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은 '한 배'를 타고 있다. 3년 후 그 배가 목표로 한 항구에 도달할 수 있을지, 반대로 최소 5년간 경유지에 정박할지는 한 대표가 강조한 "건강하고 생산적인 당정 관계"에 달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