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기후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성장지표인 '탄소생산성' 지표가 유럽과 미국 등 OECD 평균 대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기후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BOK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기존의 성장지표인 노동생산성과 기후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성장지표인 탄소생산성 간의 관계는 국가마다 편차를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동생산성의 경우 2019년 기준 63(미국=100)으로 OECD 평균(73)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U와 독일의 노동생산성 수치는 85와 77을 나타냈고 일본은 우리나라와 같은 63을 기록했다. 영국 역시 71로 우리나라보다 약간 웃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탄소생산성 수치(2018년 기준)의 경우 우리나라와 주요국 간에 큰 격차를 나타냈다. 우리나라의 탄소생산성 지표는 88에 그친 반면 영국은 207로 우리나라 수치의 두 배를 훌쩍 넘어섰다. EU(169)와 독일(149), 일본(125) 역시 100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치 역시 124로 파악됐다. '탄소생산성'이란 탄소배출량 대비 산출량으로, 탄소생산성이 높아지면 매출 증가 등 기업 가치가 개선되고 기업의 미래 성장잠재력을 나타내는 지수로도 해석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탄소생산성 증가율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차감한 '생산성 증가율' 역시 우리나라와 주요국 간 격차가 두드러졌다. 지난 2000년부터 2018년까지 OECD 국가들의 평균 생산성 증가율은 1.7%포인트 상승했고 영국과 독일, 미국 등 주요국들 역시 최대 3.1%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6개 국가 중 유일하게 0.6%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대해 한은은 세계경제가 기후위기 극복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생산성이 연간 5.6%(경제성장률 3.1%, 탄소배출 증가율 –2.4%) 증가해야 한다는 맥킨지의 분석 결과를 인용하며 "세계경제가 기후위기 극복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탄소생산성 제고가 더욱 가속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