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쌓고 또 쌓아 만든 아시아의 옻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1-12-21 0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漆, 아시아를 칠하다’ 개최

  • 고려시대 ‘나전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등 263점 전시

12월 20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특별전 '漆(칠), 아시아를 칠하다' 언론공개회에서 참석자들이 작품을 관람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아시아 각지에서 발전한 다양한 칠공예 기법과 옻칠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263점의 칠기를 선보인다. [사진=연합뉴스]


옻칠은 고행처럼 힘든 작업이다. 1년 이상 걸리는 작품이 많다. 시간을 쌓고 또 쌓아야 만들 수 있는 작품이다. 옻나무가 자생하는 아시아 지역에서 중요한 공예품 제작 기술 중 하나로 자리잡은 옻칠을 통해 오랜시간 이어져 온 아시아 문화를 만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오는 12월 21일부터 2022년 3월 20일까지 특별전시실에서 아시아의 옻칠과 칠공예 문화를 보여주는 특별전 ‘漆, 아시아를 칠하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시아 각지에서 발전한 다양한 칠공예 기법을 살펴볼 수 있는 263점의 칠기를 선보인다. 중국 상하이박물관과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소장품을 출품했고, 현대 칠기 전시를 위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옻칠 공예 작가들이 함께 했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된다. 1부 ‘칠기를 만나다’에서는 칠기와 옻칠이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모자합(母子盒) 등으로 칠기가 도자기, 금속기와 함께 동시대 공예문화의 한 축을 이루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했음을 볼 수 있다.
 
2부 ‘칠기를 꾸미다’에서는 칠기의 기본 장식 기법 세 가지를 알 수 있도록 전시됐다.
 
정제한 옻칠은 원래 색이 없는 도료로서 나무로 된 기물 위에 바르면 갈색빛이 난다. 그러나 옛 사람들은 옻칠에 산화철이나 진사 등을 섞어 검은색과 붉은색을 만들어 발라 색을 더했고, 이러한 색채 대비를 이용해 다양한 그림과 무늬를 그려 장식하였다. 우리나라 창원 다호리 유적 출토 칠기의 검은색이나 중국 한나라 칠기의 다양한 무늬는 이를 잘 보여준다.
 
또한 금이나 은 등 귀한 물질을 옻칠의 접착력을 이용해 붙여 꾸미는 기법도 등장하였는데, 7~8세기 동아시아에서 유행했던 평탈(平脫)기법(옻칠한 기물 위에 금은 판으로 만든 무늬를 붙이고 다시 옻칠을 한 후 갈아내어 무늬를 드러내는 기법)으로 발전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도 평탈 기법으로 제작한 통일신라시대 거울 등을 선보인다.
 
3부 ‘개성이 드러나다’에서는 아시아 각 지역별로 발전한 칠공예의 종류를 알아본다.
 
한국에서는 나전칠기, 중국에서는 여러 겹의 옻칠로 쌓인 칠 층을 조각해 무늬를 표현하는 조칠기(彫漆器), 일본에서는 옻칠 위에 금가루를 뿌려 표현하는 마키에[蒔繪]칠기가 주로 제작되었다. 각 지역별 공간을 분리하여 이러한 특징을 뚜렷이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지난 2020년 일본에서 구입한 ‘나전 칠 대모 국화 넝쿨무늬합’이 최초로 선보이며, 영상과 함께 합을 감상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도 마련하였다.
 
노남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고려시대 나전칠기의 정수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현재 전 세계에 3점 밖에 없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소개된다”라고 설명했다.

 ‘나전 칠 대모 국화 넝쿨무늬합’ [사진=국립중앙박물관]

 
또한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중국 상하이박물관 소장 중국 조칠기 삼십 여 점도 전시하였다. 각 국의 당시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귀한 유물들이다.
 
4부 ‘경계를 넘어서다’에서는 지역과 계층을 넘어선 칠기의 변화를 살펴본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에 이르면 사용 계층이 확대되고 길상무늬가 많아지며 베갯모 등 일상생활 용품까지 나전칠기로 제작된다.
 
일본과 중국에서 제작된 칠기는 17세기 이후 아시아라는 지역을 넘어 유럽으로 수출되며 ‘남만칠기(南蠻漆器)’등 새로운 모습의 수출용 칠기가 탄생하였고, 도자기와 함께 동양풍의 유행에 기여하였다. 한편, 동남아시아의 미얀마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칠기가 대표 관광 상품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 각지의 사람들과 만나고 있다.
 
전시의 마지막인 에필로그에서는 ‘오늘날의 옻칠, 그 물성과 예술성’이라는 제목으로 현대 옻칠 작품을 전시한다. 옻칠이 가진 도료 및 장식 재료로서의 물성, 칠공예의 역사와 예술성에 대해 오늘날의 시각과 관점으로 생각해보며 전시를 갈음하는 공간이다.
 
허명욱 작가의 ‘무제’를 비롯해 김설, 정해조, 정영환, 최영근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