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식재료 물가 12% 급등…외식은 두렵고 집밥은 비싸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애신 기자
입력 2021-07-05 1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외식물가 1.7% 상승...김밥·자장면·라면 등 서민음식 줄줄이 올라

  • 농축수산물·국제유가 상승 영향...정부 "하반기 안정세 찾을 것"

점심시간 서울 중구 명동 식당가 모습 [사진=연합뉴스]

올해 들어 집밥과 외식물가가 동반 상승하고 있다. 코로나19 경제 위기 속에서 먹거리마저 서민의 가계 부담을 키우고 있다. 

5일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외식 물가는 112.75(2015=100)로 전년 동기 대비 1.7% 상승했다. 이는 2019년 상반기(2.3%) 이후 2년 만에 가장 큰 상승이다.

외식물가는 지난해 11월 이후 7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1.0%를 시작으로 올해 1월 1.1%, 2월 1.3%, 3월 1.5%, 4월 1.9%로 쉼없이 올랐다. 5월에는 2.1%로 2%대에 진입한 후 6월에는 2.3%를 기록하며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을 보였다.

이정현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외식물가가 상승한 것은 원재료비와 운영비, 재료비 등이 지속해서 올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상반기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외식 품목은 생선회(5.1%)다. 갈비탕(3.9%), 죽(3.8%), 소고기(3.5%), 볶음밥(3.4%) 등의 오름세도 두드러졌다. 특히, 서민들이 즐겨 찾은 음식 가격이 크게 올랐다. 김밥 4.2%를 비롯해 김치찌개 백반(2.5%), 칼국수(2.3%), 짜장면·짬뽕(각각 2.8%), 라면·떡볶이(각각 2.5%) 등이 줄줄이 상승했다.

기업·관공서·학교 등 구내식당 물가도 3.7%나 올랐다. 이는 2015년 하반기(5.9%) 이후 5년 1분기 만에 최고다. 구내식당비는 올해 1월 2.3%에서 2월 2.7%, 3월 3.9%로 오른 후 4월부터 6월까지 4.4%를 기록했다.

외식물가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식재료비다.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상반기 12.6% 껑충 뛰었다. 농축수산물 물가가 두 자릿수 상승을 기록한 것은 2011년(12.5%)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상반기 내내 작황 부진과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로 서민들의 밥상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농축수산물 중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올해 '파테크' 열풍을 불러일으킨 대파다. 연초 한파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어든 가운데 지난해 가격이 급락했던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상반기 156.6% 급등했다. 1994년 이후 27년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사과는 54.3% 올라 1999년 이후 22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배(47.0%), 마늘(45.7%), 복숭아(43.8%), 고춧가루(34.9%), 양파(26.6%), 감(22.0%) 등의 가격도 크게 올랐다. AI 여파로 최근 가격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는 달걀은 38.9% 올라 2017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처럼 서민의 장바구니 물가와 직결되는 농축수산물 물가가 껑충 뛰면서 집밥 체감물가도 외식물가 못지않게 오른 상태다. 매일 식탁에 올라가는 농축수산물 물가가 뛰면 체감 물가 상승률은 실제 물가 상승률보다 더욱 커질 수 있다.

직장인 이명희씨(39)는 "사회 초년생 때도 외식물가가 갑자기 많이 올라 당시 자취하던 동료들끼리 돈을 아껴보려고 집에서 도시락을 싸 와서 먹곤 했다"며 "지금은 식당에서 뭘 먹기가 겁날 정도로 물가가 올랐는데 집에서 음식을 싸오는 비용도 만만치 않게 들어가 식비 지출이 큰 상태"라고 말했다. 

정부는 하반기에는 전체적인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른 원인이 기상 여건 악화인 만큼 일시적인 공급 충격에서 벗어나 하반기에는 공급이 균형을 찾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물가 상승의 또 다른 축인 국제유가 역시 하반기에는 오름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 백신 접종이 확대되고 그동안 억눌린 소비심리가 분출되면 수요가 몰려 가격 인상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하반기 33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물가에 미칠 영향도 변수 중 하나다. 정부가 내수를 살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펼치는 확장재정 정책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