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인 분쟁]양국 갈등 고조... 경제 타격 어느쪽이 클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곽예지 기자
입력 2020-06-23 07:4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도, 국경 교전규칙 개정 등 잇단 강경 대응에 관계 악화 조짐

  • 中 산업 분야에서 인도 비중 높아져.. "스마트폰 업계 타격 클 것"

  • 인도 스타트업 투입 中 자본만 40억 달러.. "인도 피해도 만만찮아"

인도와 중국의 대립이 팽팽하다. 지난 15일 양국 국경지대에서 벌어진 충돌로 수십명이 사망하면서 오랜 시간 이어진 양국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진 모습이다. 특히 인도는 중국과 충돌 시, 총기 사용을 허가하겠다고 교전 규칙을 개정하는 등 상당히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인도가 세계 2위 강국인 중국을 상대로 강력한 대응을 내놓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경제적 요인을 꼽는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양국 경제 사슬을 계산하면, 양국 관계 악화가 결국 중국의 손해라는 결론이 나왔단 것이다. 물론 반론도 있다. 인도의 산업 대부분이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인도의 강력 대응이 되려 ‘제 발등을 찍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중-인도 국경충돌 발생한 갈완계곡 위성사진 [사진=AP·연합뉴스]

◇인도 스마트폰 시장서 中업체 점유율 80% 이상... 중국 업체 피해 불가피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인도 언론에 따르면 라지나트 싱 인도 국방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군 수뇌부와 회의 직후 인도의 국경 교전 규칙을 개정해 총기 사용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 국경지대에 배치된 인도군 지휘관은 앞으로 자체 판단에 따라 적대행위에 대해 자유재량권을 갖고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 인도·중국 국경지대 최전방 2㎞ 이내의 군인은 총기나 폭발물을 휴대할 수 없었다. 국경지대의 우발적 충돌이 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지난 15일 있었던 난투극에서 양국군이 살상무기를 사용하지 못했던 이유다. 그러나 중국군이 못이 박힌 쇠막대 등의 치명적 무기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인도 측에서 제기되면서 인도 국방부도 상응 조치를 내놨다는 평가다.

인도는 중국과의 이번 충돌 직후 과거에 비해 강경해진 대응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앞서 18일에는 인도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수입관세를 매기고, 통신장비 구매를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 같은 인도의 태도는 경제적 자신감이 뒷받침됐다는 평가다. 그간 인도와 중국은 국경 분쟁으로 자주 충돌했지만, 경제 분야에서는 상부상조하는 모습이 강했다. 중국 경제와 산업 곳곳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도 차츰 늘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 점유율은 81%에 달한다고 중국 관찰자망은 22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점유율인 67%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이다.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 IDC 조사에 따르면 인도의 스마트폰 판매량 상위 5개 브랜드 중 4개가 중국 브랜드다. 이들 중국 업체들이 지난해 인도 시장에서 올린 매출만 160억 달러(약 19조4000억원)를 넘어선다. IDC는 “인도에서의 ‘메이드인 차이나 보이콧(불매운동)’은 몇몇 중국 휴대전화 제조업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외에 중국의 텐센트, 알리바바 등 대형 IT기업들 역시 인도에서 벌어들이는 수익도 상당하다. 일각에서는 인도가 국경 난투극으로 자국 군인 20명이 사망했다고 밝힌데 반해 중국이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밝히지 않은 것을 두고 인도와의 관계 악화가 중국 경제에 좋을 게 없다는 인식이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中, 인도의 2위 무역국가... 인도는 중국서 비중 적어 

물론 양국 관계 악화가 중국보단 인도에 더 큰 타격이 될 것이란 의견도 많다. 중국 관찰자망에따르면 인도의 유명 경제학자 스와미나탄 에야르는 “중국산 제품 의존도가 높은 산업 구조상 국경 갈등이 무역분쟁으로 확대되면 인도가 받는 피해가 더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중국은 지난해 기준 인도의 2위 무역국이다. 사실상 인도에게 중국은 핵심 무역국 중 하나인 셈이다. 반면 중국 전체 무역액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 편이다. 미국, 홍콩, 일본, 한국, 베트남, 독일보다도 뒤쳐진다. 중국이 인도 시장에서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다른 국가와의 무역에서 만회할 수 있다는 의미다.

게다가 인도 싱크탱크 게이트웨이 하우스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이래 인도의 기술 스타트업에 투입된 중국 자본만 40억 달러에 달한다.

인도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중국산 부품 비중도 약 20%로 높은 편이다. 양국 관계가 악화되면, 인도 자동차업체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에야르는 “인도와 중국의 국경분쟁을 경제·무역 분야로 확대해선 안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는 “인도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어려운 상태”라며 “’메이드인 차이나 보이콧’이 인도의 발등을 찍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인도에서는 양국 국경충돌 이후 고조된 반중감정이 중국산 불매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뉴델리·러크나우·암리차르·아마다바드 등 인도 곳곳에서 반중 시위가 벌어졌고, 전인도무역협회(CAIT) 등 민간단체는 중국산 불매 운동을 시작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