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능력이냐 직급이냐..." 27년간 달라진 中대사 인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예지 기자
입력 2019-12-02 06: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초대 장팅옌~4대 닝푸쿠이는 한반도통

  • 3명은 한국 근무경력 없는 국제·일본통

주한 중국 대사가 내년 초쯤 새로 부임한다는 소식이 외교가에 전해졌다. 역대 최장수 주한 중국대사인 추궈훙(邱國洪) 대사의 후임으로 싱하이밍 주몽골 중국 대사가 내정됐고, 현재 싱 대사에 대한 한국 정부의 아그레망(외교사절 임명에 대한 주재국 동의) 절차가 끝나면 내년 초 바뀔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 중국대사 자리에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한반도통'이 오는 것이다. 북한과 한국의 사정을 잘 알고, 한국어에도 능통한 이른바 '지한파(知韓派)' 인물이 신임 주한 중국대사로 내정되자 외교가에선 '한·중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초대 장팅옌 대사(왼쪽부터), 우다웨이 대사, 리빈 대사, 닝푸쿠이 대사 [사진=인민망]

◆'한반도통' 주한 중국 대사, 재임시절 한중관계 우여곡절 多

중국이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총 7명의 대사를 보냈다. 크게 '한반도통'과 '일본통'으로 나뉜다. 초기 주한 중국대사는 초대 장팅옌(1992년~1998년) 대사부터 3대 리빈(2001년~2005년) 대사, 4대 닝푸쿠이(2005년~2008년) 대사들은 한국어가 유창한 인사들 위주였다. 이들은 베이징대나 김일성종합대에서 한국어(조선어)를 익힌 뒤 북한 근무 경험이 있다.

1992년 수교를 맺은 한·중관계는 급물살을 타듯 빠르게 발전했다. 특히 무역·투자·인적교류 방면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당시 초대 대사로 부임한 장팅옌은 베이징대 조선어과를 졸업한 엘리트로 외교부에서 한평생 한반도 문제를 연구하는 중국 대표 한반도통으로 불렸다. 그는 주한 중국 대사로 부임한 약 5년 11개월간 양국 간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바삐 움직였다. 

한·중 관계엔 중간중간 우여곡절도 많았다. 2대 우다웨이(1998년~2001년) 대사 재임기간 발생한 1999년 ‘중국산 마늘파동’이 대표적이다. 한·중 수교 이후 처음으로 발생한 양국 간 통상분쟁이었다.

리빈 대사 재임 시절인 2004년에도 한·중 양국 관계는 뜻밖의 장애물을 만났다. 고구려사를 둘러싼 이른바 '동북공정' 논란이다. 당시 한국에선 반중 감정이 치솟았고, 한·중 관계 근본이 흔들릴 위기에 놓인 바 있다.

닝푸쿠이 대사 재임 직후엔 양국이 김치 파동으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 2005년 우리 정부가 중국산 김치에서 기생충알을 검출해 중국산 김치 수입 검역 비율을 100%로 높였다. 이후 중국의 보복으로 1년 만에 다시 기존 수준인 10%로 낮춰 사실상 양보하면서 화해 모드로 전환됐다.
 

청융화 대사(왼쪽부터), 장신썬 대사, 추궈훙 대사. [사진=신화통신, 인민망]

◆'한반도통'→'일본통'→'한반도통'...中, 한중 관계 개선 본격화?

2008년 10월 닝푸쿠이 대사 이임 이후엔 5대 청융화(2008년~2010년) 대사, 6대 장신썬(2010년~2013년) 대사, 7대 추궈훙(2014년~) 대사 등 한국 근무 경력이 없던 국제·일본통들이 주한 대사 자리를 이었다. 이들은 '한반도통'은 아니었지만 그동안 대다수 부국장급이었던 주한 중국 대사보다 직급이 높은 국장급 출신이었다. 

이는 중국이 한·중 관계를 중시하고 있는 신호로 비치며 한·중 관계 격상 기대감을 높였다. 실제로 이들은 재임 기간 한·중 양국의 우호 관계를 격상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초대 장팅옌 대사 이후 두 번째로 오랜 기간 주한 중국대사로 근무하고 있는 추궈훙 대사는 한·중 밀월관계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와 2016년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 이후 양국 관계가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지는 시기를 모두 경험했다. 최근 양국 관계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지만 사드 ‘앙금’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번에 중국 정부가 10년여 만에 '한반도통'인 싱하이밍 대사를 내정한 것을 두고 적극적인 대한(對韓) 외교를 전개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인사란 평가가 나온다. 싱하이밍 대사처럼 남북한 외교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을 다시 전진 배치하는 이유를 놓곤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안보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라는 해석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