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은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대책과 관련해 “수영을 할 때 바다가 아닌 실내수영장부터 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간담회가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말했다.
간담회에는 은행연합회장, 금융투자협회 전무, 생손보협회 전무, 금융연구원장, 자본시장연구원장, 금융투자자보호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14일 DLF 대책을 통해 은행에서 고난도 사모펀드(원금손실 가능성 20~30%) 판매를 금지했다. 또 사모펀드 최소투자금액을 1억원에서 3억원으로 높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은행권 관계자는 이번 대책으로 ‘은행이 위축된다’ ‘투자상품 개발·판매의 발전이 더뎌진다’는 의견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은 위원장은 “공감은 한다”면서도 “수영을 하면 처음엔 실내수영장을 가고 이후에 바다를 가야 하는데, 이번 사태는 처음부터 바다를 간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번 사태가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통과에 힘을 실어준 것 같다”며 “국회의원들이 금소법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있어 연내 통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간담회에는 은행연합회장, 금융투자협회 전무, 생손보협회 전무, 금융연구원장, 자본시장연구원장, 금융투자자보호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14일 DLF 대책을 통해 은행에서 고난도 사모펀드(원금손실 가능성 20~30%) 판매를 금지했다. 또 사모펀드 최소투자금액을 1억원에서 3억원으로 높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은행권 관계자는 이번 대책으로 ‘은행이 위축된다’ ‘투자상품 개발·판매의 발전이 더뎌진다’는 의견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은 위원장은 “공감은 한다”면서도 “수영을 하면 처음엔 실내수영장을 가고 이후에 바다를 가야 하는데, 이번 사태는 처음부터 바다를 간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번 사태가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통과에 힘을 실어준 것 같다”며 “국회의원들이 금소법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있어 연내 통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에서 열린 '금융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 간담회'장으로 들어오고 있다. 2019.11.15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