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인하]연준 금리인하 뒤 증시 반응 되짚어보니..."랠리 최적 인하폭은 0.25%P"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신회 기자
입력 2019-08-01 10: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금리인하폭 클수록 3~6개월 뒤 수익률은 하락

  • 파월 의장 11차례 FOMC 주재 증시 랠리 두 번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마침내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일제히 1% 넘게 추락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시장에 충분히 반영된 가운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추가 인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은 게 악재로 작용했다.

그는 3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뒤 회견에서 이번 금리인하의 성격을 '중간주기 조정(midcycle adjustment)'이라고 규정했다. 장기적인 금리인하 주기의 시작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3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회견 중계방송을 보고 있다.[사진=로이터·연합뉴스]


연준의 금리인하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12월 이후 10년 7개월 만이다. 2015년 말부터 지난해 말까지 금리를 9차례 올린 뒤이기도 하다. 이번 금리인하가 연준의 통화완화 기조 복귀를 알리는 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했던 시장은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연준에 대폭적인 금리인하를 압박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언제나처럼 파월이 우리를 실망시켰다"고 썼다.

실제로 파월 의장에 대한 시장의 실망은 새로울 게 없다. 마켓워치는 파월 의장이 이날까지 FOMC 정례회의를 11번 주재했다며, 회의 뒤에 증시가 랠리를 펼친 적은 두 번밖에 안 된다고 지적했다. 금리인상 행진 끝에 연내 금리동결 신호를 보낸 지난 1월과 이번 금리인하를 강하게 시사한 지난달이 그랬다.

마켓워치는 연준이 통상 0.25%포인트 규모의 금리인하를 단행하면 증시가 랠리를 펼치는 게 보통이라고 지적했다. 금리인하는 기업과 개인의 자본조달 비용 부담을 낮추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1990년 이후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춘 날 S&P500지수는 평균 0.16% 올랐고, 한 달 뒤에는 0.57% 뛰었다. 금리인하 폭이 0.50%포인트일 때는 금리조정 당일 0.34%, 이후 한 달 동안에는 1.25% 상승했다.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낮춘 경우에는 당일에만 2.76% 올랐지만, 한 달 상승폭은 0.27%에 그쳤다.

마켓워치는 금리인하 폭이 클수록 3~6개월 뒤의 증시 수익률은 뒷걸음질치는 경향이 있다며, 증시 랠리에 최적인 인하폭은 0.25%포인트라고 지적했다.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높인 뒤 3개월간 S&P500지수는 3.67% 올랐고, 6개월 동안에는 5.64% 뛰었다. 반면 금리인하 폭이 0.50%포인트, 0.75%포인트였을 때는 3개월, 6개월 뒤에 모두 주가가 1~4% 하락했다.

금리인하 폭이 클 때 증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건 경기가 좋지 않을수록 금리인하 폭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연준의 이번 금리인하는 파월 의장이 말한 대로 보험 성격이 짙다. 경기부진에 직접 대응한 게 아니라 미중 무역·전쟁을 비롯한 하방위험 대비한 조치라는 얘기다. 

마켓워치는 완만한 금리인하가 시장에 더 지속적인 부양 효과를 낸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투자자는 물론이고, 연준에 대규모 금리인하를 압박해온 트럼프 대통령도 이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