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폐 암세포 성장 새로운 기전 규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황재희 기자
입력 2019-05-09 09: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터루킨-23, 선천성 림프구 세포 아형3, 인터루킨-17’ 축이 원인

서울대학교병원은 정두현 병리과 교수 연구팀이 폐 암세포 성장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서울대병원에서 수술한 비소세포 폐암 환자 80명의 암 조직을 이용해 암면역 미세 환경을 분석했다”며 “그 결과, 암세포는 종양에서 특정 물질을 분비해 면역세포 분포를 변화시키면서 스스로 유리하게 암 미세 환경을 바꾸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폐암세포는 인터루킨-23을 분비해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아형 분포 변화를 유도하는데, 이로 인해 증가된 아형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인터루킨-17을 분비해 종양 성장을 촉진했다.

쉽게 말해 비소세포 폐암 암세포가 분비하는 인터루킨-23이 종양 내에 존재하는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아형1을 아형3으로 변화시킨다. 이 때 증가된 아형3에 분비하는 인터루킨-17가 폐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다.
 

폐 종양에서 암세포가 인터루킨-23을 분비→선천성림프세포가 아형1에서 아형3로 바뀜→변형된 아형3는 인터루킨-17을 분비→이것이 다시 폐에 암세포를 성장시킴 [사진=서울대병원 제공]

연구팀은 환자의 암조직을 이용한 체외 실험뿐 아니라 생쥐 종양 모델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하자 해당 기전이 실제 체내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증명했다. 폐암에서의 ‘인터루킨-23, 선천성 림프구 세포 아형3, 인터루킨-17’ 축이 종양의 새로운 생존 전략 메커니즘으로 작용함을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

폐암은 유병률이 높고 예후가 불량한 종양이다. 최근 면역요법이 폐암 환자의 생존을 증가시켜 이에 관한 암면역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양 내에는 암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 작용이 종양 생존에 영향을 준다. 때문에 종양 미세 환경에 대한 이해가 면역치료법 개발에 필수적이다.

비교적 최근 발견된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항원 특이성이 없는 면역세포로, 천식 등 염증성 질환에서의 기능은 많이 알려졌으나 종양에서의 역할은 정립되지 않았다.

정두현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암세포와 면역세포 간 상호 작용이 폐암의 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냈다”며 “폐암 환자 치료의 새로운 타겟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최신호 온라인에 발표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