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만세운동 고문당해 두눈이 먼, 안동 종부 김락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상국 논설실장
입력 2019-02-24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을사조약 이후 자결한 향산 이만도의 며느리…일본이 기록해놓은 여성투사

[2016년 초연된 창작오페라 '김락'.]

 

[로열오페라단의 창작오페라 '김락'. 3월9일 안동 문화예술의전당 무대에 올려진다. = 로얄오페라단 제공]



3월 9일 안동에선 창작오페라 '김락'이 무대에 오른다. 2016년 초연된지 3년 만이다. 3·1운동 100주년, 아무리 시간이 그날의 기억을 지워왔다 하더라도 '김락' 두 글자는 영원히 후세의 가슴에 새겨둬야 하리라. 안동 독립운동가 문중의 맏며느리이자, 3·1만세 운동으로 참혹하게 삶을 마감한 여성투사다.

당시 조선총독부 경북경찰부가 만든 일제 고등경찰 요사(要史)에는 이런 글이 있다.

"안동의 양반 고 이중업의 처는 대정18년(1919년) 소요 당시 수비대에 끌려가 취조받은 결과 실명(失明)했고, 이후 11년 동안 고생한 끝에 소화4년(1929년) 2월에 사망했다. 그 때문에 아들 이동흠이 밤낮 적개심을 잊을 수 없다는 뜻을 스스로 고백하고 있다."

'이중업의 처'가 김락(金洛, 1862~1929)이다. 친정아버지 김진린은 조선시대 도사(都事)를 지냈기에 그녀가 태어난 집을 도사댁이라 불렀다. 도사댁은 사람 천석, 글 천석, 살림 천석이라 삼천석댁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인덕과 학문과 재력을 갖춘 명문가였다는 얘기다. 그녀의 형부(김우락의 남편)는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이다. 

그녀가 시집간 곳도 그 강기(剛氣)가 만만치 않았다. 시아버지 이만도는 을사조약 이후 을사오적을 처단하라는 상소를 올렸고 단식 24일 만에 순국한 분이다. 48세의 며느리는 집안의 이 상황을 온몸으로 겪었다. 남편 이중업은 1919년 파리 독립청원 활동을 펼쳤다. 아들 이동흠은 1917년 광복회에 들어가 군자금 모금활동을 했고 이듬해 이 일이 드러나 5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김락은 1919년 3월 17일과 22일 안동 예안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그녀는 일제가 기록한 보고서가 말하고 있듯, 경찰에서 잔혹한 고문을 받았다. 눈이 실명하는 가혹행위 끝에도 그녀는 안동 종부의 기개를 잃지 않았다. 아들 이동흠은 앞을 보지 못하는 몸으로 돌아온 어머니를 보면서 분노와 복수의 염(念)을 활활 태웠을 것이다. 실명 이후 10년의 시간 동안, 김락은 두 차례나 자결을 시도했다. 나라 잃은 캄캄한 하늘 아래 구차하게 사느니 깨끗한 죽음이 차라리 낫다는, 이만도의 길을 따라가려 했던 것이다.

온 가족이 저마다 치열한 독립투쟁에 나서 나라를 구하려 했던 김락 가문의 기풍. 57세 여성이 나이와 성(性)과 집안의 질곡을 떨치고 나서 스스로 선택한 사투. 망국 속의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안동 종부의 가열찬 삶을, 어찌 이날에 돌아보지 않을 수 있겠는가. 100년 시간도 그 '뜻'을 식히지는 못한다.

                      이상국 논설실장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에 있는 시아버지 이만도, 이중업과 김락 부부, 아들 이동흠 등 3대 독립지사가 묻힌 가족묘역. 이만도는 퇴계의 11대손이다.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