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의 발견]28. 나잇값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홍성환 기자
입력 2018-12-17 04: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동일 '라틴어 수업'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 이탈리아어나 독일어 등의 유럽어가 이러한 수평적 언어가 가능한 것은 바로 라틴어 덕분입니다. 라틴어의 많은 어법 가운데 특별히 접속법은 화자나 글쓴이의 바람, 생각과 추측, 가정과 희망, 조건과 권고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중략) 로마법의 조문은 '~을 하지 마라'는 식의 직설법적 표현이 아니라 '~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삼가시기 바랍니다' 등의 완곡한 접속법적 표현으로 나타냈습니다. <라틴어 수업(한동일∙흐름), 176쪽>

한글은 존댓말이 매우 발달한 언어 가운데 하나입니다. 단순한 높임말뿐 아니라 아주 높임말도 쓰입니다. 같은 의미라도 나를 낮추는 단어, 다른 이를 높이는 단어가 따로 존재합니다. 듣는 사람과 말하고자 하는 사람의 위아래를 따져서 말하는 압존법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오죽하면 사물에도 높임말을 붙일 정도입니다. 이처럼 우리 말은 대화 상대와 그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존댓말이 아주 다양합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이 그만큼 '나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실제 우리 사회에서 인간관계의 핵심은 나이입니다. 처음 만났을 때 이름 다음으로 물어보는 것이 바로 나이입니다. 시비가 붙었을 때도 꼭 '너 몇 살이야'라는 말이 빠지질 않습니다. 빠른 생일인 사람들의 의지도 대단합니다. 2월생과 3월생, 불과 한 달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데도 여기서 위아래를 정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 주변에는 어른답지 않은 어른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흔히 나잇값을 못 한다고 하죠. 대접은 받고 싶어하면서 정작 어른답게 무언가 책임을 지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제 밥그릇은 더 챙기려 하면서 귀찮은 일은 나이 어린 사람들에게 떠넘기기 일쑤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것들이 개인과 개인의 작은 단위에서 뿐 아니라 더 큰 범위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회를 이끌어 간다는 집단에서도 나잇값을 못 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이 어른답게 중심을 잡아주지 못하다 보니 이 사회가 삐걱거릴 수밖에 없는 것이죠.

나이가 많다고 다 어른은 아닙니다. 진짜 나잇값을 하는 어른들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