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으로 인한 1년간 사회적 손실비용 11조4679억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황재희 기자
입력 2018-12-10 12: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건강보험공단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 발표…의료비가 50% 이상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이 11조467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3~2004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 중 비만 관련 질병(45개군)에 대한 과거력이 없는 1009만1251명을 대상으로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그 결과 2016년 기준 사회적 손실비용은 11조4679억원으로, 당해 연도 GDP 0.7% 규모에 이르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의료비로 인한 손실규모가 5조8858억원(51.3%)으로 가장 컸으며, 근로과정에서 비만에 의해 노동력이 감소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인 생산성저하액이 2조3518억원(20.5%)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질병치료를 위해 의료기관 방문 시 직장에 결근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실액인 생산성손실액은 1조4976억원(13.1%)이었으며, 조기사망하는 경우 발생하는 미래소득 손실액인 조기사망액 1조1489억원(10.0%), 간병비 4898억원(4.3%), 교통비 940억원(0.8%)순으로 확인됐다.

비만에 기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성별 비중을 살펴보면, 남자는 56.6%(6조4905억원), 여자는 43.4%(4조9774억원)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1.3배 손실이 컸다.

연령대별 비중으로는 50대가 26.8%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60대(21.2%), 40대(18.2%), 70대(15.9%), 30대(7.9%), 80대 이상(7.3%), 20대 이하(2.6%) 순이었다.
 

[성‧연령별 비만에 대한 항목별 사회경제적 비용 자료=건강보험공단 제공]

질병군별로 구분한 손실비중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 비만 관련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 중 당뇨병에 의한 비용이 22.6%(2조624억원)로 손실규모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고혈압 21.6%(1조9698억원), 허혈성심장질환 8.7%(7925억원), 관절증 7.8%(7092억원) 순이었다.

소득과 재산이 반영된 건강보험료 분위에 따른 의료비 손실비중을 그래프로 살펴보면, 남자와 여자 모두 U자형 패턴이 나타났다.

의료급여에 속하는 ‘0분위’ 손실비중이 가장 컸으며, ‘1분위’부터 전반적으로 손실비중이 감소하다가 ‘14분위’ 이상부터 다시 지속적으로 손실비중이 증가했다.

비만에 기인한 의료비(건강보험 총 진료비, 비급여제외) 손실을 거주 지역에 따른 1인당 비용으로 살펴보면, 전라남도가 약33만8000원으로 지출 비용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전라북도 약32만5000원, 부산광역시 약31만6000원, 강원도 약30만7000원 순으로 지출 비용이 컸다.

거주 지역별 비만에 기인한 의료비 1인당 비용 [자료=건강보험공단 제공]

건보공단은 이번에 발표된 소득분위‧지역별 비만에 기인한 의료비 분포가 기존과는 다소 상이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비만백서를 통해 발표된 비만율 현황은 건강검진자료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해 분석한 값으로, 지역별 비만율은 강원‧제주가 가장 높고, 소득순위별 비만율에서는 여성의 경우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비만율이 더 높았다.

그러나 이번 의료비 현황은 비만율 뿐 아니라, 비만과 관련한 질병 유병률과 각 질병군별 의료비 지출규모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되면서 다른 패턴을 보였다.

연구를 수행한 이선미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30~50대(총 손실의 52.9%)와 고혈압‧당뇨병(총 손실의 44.2%)에서의 높은 손실비중은 비만이 생산가능인구 건강을 저해하고, 만성질환 진료비 증가에 기여함을 유추할 수 있는 결과”라며 “향후 비만관리대상 우선순위 설정 시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정영기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장은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진료비는 3년 사이 1.5조 이상 상승했다”며 “비만은 발병 이전에 예방․관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만큼 이를 위해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적극 추진할 예정으로, 국민들도 적극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16년 기준 건강보험 검진‧자격‧진료내역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연계한 코호트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병‧의원과 약국에 지출되는 의료비를 비롯해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부대비용인 간병비와 교통비를 포함하는 직접의료비와 조기사망‧생산성 손실‧저하로 인한 간접비를 합한 총 비용으로 추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