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칼럼] 미국은 금리를 언제까지 올릴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부원 기자
입력 2018-09-06 11: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구희진 대신자산운용 대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금리를 올리지 말라고 압박하고 있다. 그럼에도 미국 금리 인상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연내 두 차례 금리 인상은 물론, 내년에도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내년에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언급한 세 차례 금리 인상은 현실화하기 어려워 보인다. 통화정책 정상화는 이제 정점을 향해 가고 있다. 

연준은 2015년 12월부터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이다. 연준은 긴축을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게 아니라고 밝혀왔다. 즉, 지나치게 낮은 금리를 적정 수준으로 돌려놓기 위한 정책이라는 것이다. 이를 전제로 한다면, 연준이 보여줄 다음 행보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금리를 더 올리는 바람에 정상적인 성장이나 회복이 위협받을 경우, 정상화라는 의미는 퇴색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부터 미국 통화당국은 모기지(주택저당증권) 대출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주택 구입을 위한 자금조달 환경이 나빠졌고, 우려가 늘어났다. 이는 통화정책 정상화 일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다. 주택이나 부동산시장은 지금까지 연준에서 실시한 통화정책을 이끌어낸 발원지이기도 하다.

미국 통화당국은 가계부문 자금조달 환경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2007~2008년 일어난 세계 금융위기는 '서브프라임(비우량) 모기지 위기'로 대변할 수 있고, 주택시장에서 불거진 충격에 기인하고 있다. 통화정책 정상화라는 기조 아래에서 이뤄지는 금리인상이 횟수를 더할수록 주택시장에 대한 영향도 커질 것이다. 실제 30년 모기지론 금리가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상승했다. 국채 대비 모기지대출채권 크레디트 스프레드(신용도에 따른 금리 차이)도 벌어지고 있다. 주택부문 지표인 주택 판매와 건설 승인, 주택 착공도 주춤해졌다.

연준은 모기지 시장 위축을 꺼린다. 그 이유는 첫째, 모기지 대출 규모가 아직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서브프라임 위기 이후 10년 이상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모기지 대출 잔액이 당시 수준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도리어 국내총생산(GDP) 대비 모기지 대출 비중은 여전히 하락하고 있다. 금융위기가 발발하기 전인 2005년 무렵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GDP 대비 모기지 대출 비중이 2005년 1분기 63.0%에 달했지만, 올해 1분기는 50.8%에 그쳤다. 금융위기 무렵 모기지 대출이 비정상적이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그래도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디레버리징(대출위험 축소)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은 연준 입장에서 부담이 될 것이다.

둘째 이유로는 주택수요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국에서 잠재적인 주택시장 진입세대인 25~29세와 30~34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기준 각각 7.0%와 6.8%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35~39세와 40~44세 비중은 각각 6.3%와 6.2%로 집계됐다. 이런 인구구성을 감안하면 새로 주택을 사야 하는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세대 간 소득분포는 젊을수록 취약하다. 추가적인 금리인상과 모기지 대출금리 상승은 젊은 세대에게 큰 부담을 준다.

연준은 가계부문 자금조달 환경을 완화적으로 유지하려 할 것이다. 물론 가계부채 문제가 당장 금리인상 사이클을 중단할 정도로 심각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금리인상을 이미 상당 기간 진행해왔다. 지금부터는 연준이 금리를 조정할 때 가계부채를 가장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는 얘기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정점을 향해서 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