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국 수석큐레이터 "한메이린, 동서고금의 예술을 '서화'로 풀어내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경조 기자
입력 2018-07-14 14: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일상과 예술의 경계 허물어"

중국의 한메이린 작가가 지난 6월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열린 '한메이린 세계순회전-서울' 기자간담회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한메이린 세계순회전-서울' 전시가 지난 8일 막을 내렸다. 중국 예술의 살아있는 전설로 불리는 작가 한메이린(82)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연 단독 전시였다. 한메이린은 '서(書)'라는 전통을 토대로 당대 사회와 시대정신을 시각·조형언어로 풀어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메이린의 예술세계에 대한 저마다의 고찰과 시사점을 쏟아냈다. 국내 수석큐레이터와 중국 미술계 저명 인사의 시선을 따라 그의 예술세계를 다시 한 번 느껴보자.>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는 '한메이린 예술 실천론'이란 논문에서 이번 전시에 대해 "동서고금의 모든 예술이 한메이린의 붓끝에서 무지막지하게 실천되고 있다"며 "한메이린 예술창작 태도와 철학은 인정사정 볼 것 없이 모든 장르를 종횡무진한다는 데로 모아진다"고 밝혔다.

특히 한메이린 작품에는 '일상과 예술의 경계가 허물어져 있다'고 강조했다.

이 수석큐레이터는 "한메이린이 여느 디자이너와 다른 것은 선사시대나 고대의 예술역사와 신화를 소재로 삼아 가장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는 점이다"며 "그의 디자인철학은 놀라움을 넘어 솔직히 겁이 난다"고 전했다.

이어 한메이린이 동서고금의 예술을 다 융화하는 바탕에는 '서법(書法)'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서법이 아니면 한메이린 특유의 예술도 존재할 수 없다"며 "한메이린식 사유와 실천으로 전통 필법을 디자인과 공예로 재해석하고, 재창조해낸 것이 그의 서화(書畵) 세계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한메이린을 통해 진정한 예술의 역사를 돌이켜 보는 데 의의를 가졌다.

다음은 이동국(李東拲) 수석큐레이터의 학술세미나 논문(발췌).

(전략)

2018년 1월 15일 북경의 한메이린예술관에서 <철예 동물(鐵藝動物)>을 목격하는 순간의 전율(戰慄)은 지금도 생생하다. 이것이 바로 필자가 늘 고민해왔던 삼차원 ( 三次元 )의 서(書)였기 때문이다. 이것을 서구 미술 잣대로 구분하면 분명히 조소(彫塑)나 공예(工藝) 영역이다.

골법용필(骨法用筆)을 구사하듯 대상의 뼈만을 철(鐵)로 형상화하여 동물을 재해석 해낸 이 작품은 대상의 재현이 아니라 내면의 표출로서 추상의 경지까지 가고 있다. 철로 된 뼈가 바로 필획(筆劃)이다. 이것보다 더한 열린 서예(書藝)가 어디 있는가.

(중략)

이런 조형언어는 비단 서예뿐만 아니라 세상만사 모든 조형 언어와 직통한다. 서예(書藝)야 말로 건축(建築)이자 설치미술(設置美術)이다. 그러고 보니 한메이린예술관 정면 한 벽을 꽉 채운 거대한 준마(駿馬) 군단도 같은 맥락에서 읽힌다. 한메이린예술관 수석큐레이터이자 중국미술학원 교수인 자오리(赵力)의 말을 들어보자.

“한메이린은 자유(自由) 분방(奔放)한 필묵(筆墨)을 통한 광야의 생명력(生命力) 표현을 강조한다. 그의 호방(豪放)하고 거침없는 필(筆)의 움직임은 중국 서예 전통의 자유로운 서체정신(書體精神)을 계승했고, 낙석처럼 떨어지는 먹과 다채로운 색(色)의 사용은 서양의 표현주의(表現主義)의 당대(當代) 표현방식에 더욱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실로 한메이린 작가의 필획(筆劃)이 서법(書法)에서 발원(發源)되어 회화와 도안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3차원의 조소나 자사공예(紫砂工藝) 도자까지 관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극공(克工) 의 노력과 장인(匠人) 정신의 결정체가 자사공예나 도자다. 여기에 대범하고 간결한 서화(書畵)의 필획(筆劃) 미학과 색(色)과 묵(墨)의 우연성(偶然性)의 원리를 불러들임으로서 기술 단계를 예술로 격상시키고 있다 .

(중략)

하지만 더 나아가서 한메이린 작가의 작품에는 일상과 예술의 경계마저 허물어져 있다. 특히 공예나 디자인작업이 그러하다. 물론 디자인 장르 자체가 일상과 상업 실용을 전제로 하고 있는 예술임은 물론 안다. 하지만 한메이린 작가가 여느 디자이너와 다른 것은 선사시대나 고대의 예술역사와 신화를 소재로 삼아 가장 현대적으로 재해석해낸다는 점이다.

필자가 1995년부터 지금까지 수십 차례 중국을 드나들었다. 그때마다 무심코 본 것이 공항에 즐비한 에어차이나 로고였다. 날고 있는 보통의 새를 어느 디자이너가 도안(圖案)을 했구나 생각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한메이린 작가의 1988년 작품이었다. 필자에게 더 큰 충격은 그 새의 본래 모델이 봉황(鳳凰)이었다는 사실이다. 그것도 서한(西漢)시대 청동으로 만들어진 작대기 머리 부분의 봉황 형태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

한메이린 작가에게 고대의 신화(神話) 유물은 이와 같이 그래픽디자인이나 조소(彫塑) 등 평면(平面) 입체(立體)를 불문하고 전방위로 작업되어진다. 하지만 우리가 만나는 한국의 보통 디자이너들은 여전히 서구와 현대만을 문제 삼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우리 역사 심연을 시추해서 현대적으로 해석해내는 작가를 만나기란 쉽지 않다 .

이런 가운데 만나는 한메이린 작가의 디자인철학은 놀라움을 넘어 솔직히 겁이 난다. 결국 에어차이나 로고는 중국이 하늘을 지배하겠다는 뜻을 역사를 통해 정당성을 확보해내고 있다. 동시에 오늘의 일상과 예술로 호출해내고 있다. 중국이 예술가 학자는 당연하지만 높고 낮은 관리(館吏)들이나 대중들까지도 특별히 역사를 중요시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중략)

이러한 예술창작 태도는 한메이린 작가에게는 전통과 현대는 물론 동양과 서양의 구분도 없다는 말과 바로 통한다. 다시 말하면 동서고금(東西古今)의 예술이 다 융화(融和)되어 있다. 앞서 본대로 한메이린 작가의 예술세계는 조소, 도예, 회화, 서법, 공예, 디자인은 물론 공공 미술 도시경관을 하나로 통찰해야만 작품의 진수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치 보석과도 같은 개별 장르들이 한 줄로 꿰어져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같은 새로운 예술을 만들고 있다.

그 중에서 서법(書法)이 다양한 장르를 관통하는 줄이 된다. 그런 만큼 한메이린 예술에 있어 서법(書法)은 잘라낼 수가 없다. 모든 장르에 다 물줄기가 통하고 있지만 역사에서 이미 서화동원(書畵同源)이라 한 바대로 한메이린 작가에게 있어서는 서(書)와 화(畵)는 하나다. 서법이 아니면 한메이린 작가 특유의 예술도 존재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필법(筆法), 필획(筆劃)에 있어 일기(一氣)로 모든 예술이 관통하는 이치다. 이러한 한메이린 작가의 필법(筆法)은 정통 서법(書法)의 입장에서 보면 생경(生硬)하다 할 정도로 특이하다. 전통 서예에서 정통으로 간주하는 중봉(中峰)이 아니라 편필(片筆)을 주로 구사하기 때문이다 .

(중략)

그래서 한메이린 작가에게 전통이 없으면 현대도 없다. 전통과 현대는 하나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한메이린의 현대로 들어가는 문은 바로 미술보다 디자인이고 공예다. 그는 대학에서 공예(工藝)를 전공한 작가답게 현대 공예나 디자인 입장에서 우리가 전혀 장르가 다르다고 쳐다보지도 않는 전통서예를 가로 질러가 재해석해내고 있다 .

(중략)

좌우지간 한메이린식 사유와 실천으로 전통 필법을 디자인과 공예라는 입장에서 재해석하고 재창조해낸 것이 한메이린 서화(書畵) 세계다. 역으로 말하면 한메이린 작가가 중국 전통서법을 현대 서법가들이 하는 틀 안에서만 묶여 재해석해냈다면 지금과 같이 어렵고 무거운 서법이 경쾌하게 일상화 되었겠는가. 또 서구 공예디자인 관점에서만 작품을 해냈다면 더더욱 중국의 유장(悠長)한 문화예술전통이 내장된 현대미술은 물론 공예 작품이 만들어졌겠는가. 요컨대 문화는 이질적(異質的)인 것과 정반대(正反對)의 것이 충돌(衝突)하고 융화(融和)하는 가운데 제3의 새로운 문화가 창출된다.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예술의 역사가 아닌가.

(중략)

작가 스스로 말했듯이 한메이린 예술창작 태도와 철학은 한마디로 인정사정(人情事情) 볼 것이 없이 모든 장르를 종횡무진(縱橫無盡)한다는 데로 모아진다. 이번 전시 주제로 말하자면 ‘격정(激情)’이다. 그야말로 동서고금(東西古今)의 모든 예술이 한메이린의 붓끝에서 무지막지(無知莫知)하게 실천 되고 있다. 특히 한메이린의 주특기인 인체(人體)와 동물(動物)같은 외물(外物)은 물론 서법(書法) 추상(抽象) 미술과 같은 내면세계(內面世界)와 공공미술 도시 경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중략)

2018년 1월 15일 , 북경 한메이린예술관 작업실에서 한메이린 작가는 화석(化石) 같기도 한 고목(枯木)을 수시로 쓰다듬고 연신 어루만진다. 필자의 궁금증에는 빙그레 웃기만 하고는 아무 말이 없다. 차가운 고목이 온기(溫氣)를 느끼며 깨어나고 있는 것이다. 1~2만년은 족히 된다는 고목(枯木)이었다. 돌보다 무거운 고목(枯木)을 어루만지며 1만년 시공을 뛰어 넘어 무언(無言)의 대화를 하는 것이었다. 그 앞에서 예술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예술 영감이니 접신(接神)이니 하는 것도 사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메이린 작가에게 예술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여쭈었다. “수단(手段) 방법(方法) 안 가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