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경제성장률, 통일되면 연 20% 증가"...국제사회, 북한 경제 효과에 주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문은주 기자
입력 2018-06-28 15: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북한, 경제성장률 20.6%...2국가 체제 유지해도 두자릿수 성장"

  • "폐쇄적 경제 정책 탓 성장 후퇴...인프라 개발하면 급속 성장 가능"

  • 시티 "북한 재건 작업이 한국경제 소폭 상승...자신감 향상될 듯"

지난 19일 평양에 있는 한 놀이동산에서 주민들이 놀이기구를 즐기고 있다. [사진=연합/AP]


남북 통일시 북한이 연 20%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글로벌 투자은행의 보고서가 나오는 등 한반도 해빙기를 맞아 북한 경제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잇따라 흘러나오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UBS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통일이 되면 북한의 경제 성장률은 연 20.6%에 이를 것"이라며 "한반도 전체 국내총생산(GDP) 가운데 북한이 차지하는 비중도 20년 내에 현재 1.1%에서 최고 23.5%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미국 경제방송 CNBC가 보도했다. 

보고서는 또 완전한 통일 형태가 아닌 현재와 같은 2국가 체제를 유지하더라도 남북 평화가 이어지고 북한이 경제 개방에 속도를 낼 경우 북한의 1인당 GDP가 20년간 최소 8.3배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간 성장률로는 연 11.2~17.4%까지 두자릿수 성장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UBS는 2017년 기준 북한의 GDP를 176억 달러(약 19조7419억원)로 추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30년간 중앙 집중화된 경제 정책 탓에 소득 수준이 후퇴한 유일한 국가로 지목된다. 2016년 북한 경제규모는 2053억 달러(약 230조2645억원)에 달한 베트남 GDP에 비해 약 12분의1에 불과한 170억 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었다. 세계빈곤시계(World Poverty Clock)에 따르면 북한 인구 2550만명 가운데 약 40%가 빈곤 속에 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도 최근 보도를 통해 "북한은 1960년대 이후 상세한 경제 지표를 공개한 적이 없다"며 "다양한 소스에 따르면 1989년에는 중국인보다 2배 잘 살았지만 현재는 중국인보다 8배 가난하고 한국인보다 20배 가난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에 대한 높은 경제 의존도, 과도한 군사 비용 지출 등도 북한 경제 후퇴의 원인으로 꼽힌다.

다만 남북 간 철도 개발을 시작으로 중국, 러시아까지 연결된 경제 벨트가 개발되면 인프라를 기반으로 북한 경제가 급속하게 확장할 수 있다고 통신은 전망했다. 북한이 기존의 폐쇄적인 경제 정책을 고수하기보다는 실용주의적이고 시장 친화적인 정책을 수용하면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인프라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고 북한의 천연 자원과 잘 교육 받은 노동력을 활용한다면 북한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에도 무게가 실린다. 올해 초 세계적인 투자가 짐 로저스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경제개발이 본격화할 경우 한국의 자본과 북한의 노동력, 풍부한 자원과 결합하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한편 씨티은행은 "1년 안에 116억 달러(약 13조164억원) 규모의 즉각적인 재건 프로젝트가 발효되고 한국 기업이 북한 재건 사업에 60% 이상 참여할 경우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0.07%p 향상될 것으로 추산된다"며 "프로젝트를 구체화하는 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지만 지정학적 위험이 감소했다는 점이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고 CNBC는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