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한·중 열차훼리시스템 구축 시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4-01 16: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최규온 기자 =정부에서 연구 중인 한국과 중국 간 열차훼리시스템 구축에 전북도와 군산시가 중장기 대책을 세우고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열차훼리시스템이란 화물을 실은 열차를 직접 배에 실어 운송하는 형태로 내륙의 철도운송과 해상의

 

 페리운송을 접목시킨 것이다.  

시스템의 장점은 부두에서의 환적활동에 따른 각종 하역비용과 항만 정체로 인한 물류비 등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컨테이너 운송이 불가능한 장척, 중량화물도 실어 나를 수 있어 장거리 화물열차 노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한·중 양국은 지난 2002년 ‘한·중 열차페리 운항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나 사업타당성 조사 결과 추진이 어렵다는 결론에 따라 사실상 사업이 중단됐다.

그러나 최근 박근혜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과 더불어 다시금 필요성이 제기돼 현재 관련 연구용역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대해 전북도의회 박재만 의원(사진)은 “한·중 FTA 타결뿐만 아니라 중국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중 열차훼리사업을 군산항에서 추진할 경우 전북도 전체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군산항은 중국과의 거리, 인입철도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할 때 서해 타 항보다 결코 뒤지지 않는 여건이 조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처음 열차훼리 사업에 대한 구상이 있을 당시부터 서해안 주요 항을 가진 지자체에서는 자체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반면 전북도는어떠한 움직임도 없다"고 꼬집었다.

군산항 활성화와 전북도 경제와 직접인 연관이 기대되는 사업인 만큼 전북도와 군산시가 보다 적극 관심을 갖고 사업에 뛰어 들어야 한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이어 “당장 전북도는‘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인입철도가 GCT(군산컨테이너터미널)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제안하는 등 기반시설 구축을 위해 능동적으로 움직여야 할 것"이라며 "현재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 중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관련해 전북도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연구용역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